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태교신기』수고본(手稿本)과 석인본(石印本)의 서지사항을 살펴보고 석인본의 간행 경위를 밝히며 <태교신기언해>의 표기와 음운을 비교하여 국어학적 의미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태고신기언해>는 사주당 이씨가 쓴 『태교신기』를 1801년에 유희가 장을 나누고 음을 달아 우리말로 풀이한 것이다. <태교신기언해>의 이본은 유희가 쓴 수고본과 이를 바탕으로 1938년에 경북 예천에서 간행한 석인본, 개인이 소장하고 있는 필사본이 있다. 수고본은 병서표기, 종성 표기, ‘ㆍ’의 변화, 구개음화 등 근대국어의 표기와 음운 특징을 보이며. 석인본은 수고본과 내용이 동일하나 간행 당시인 1930년대의 어문 규정을 따른 것이 다르다. 지금까지 사주당이 쓴 『태교신기』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졌으나 <태교신기언해>의 국어학적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수고본과 석인본이 필사 및 간행 당시의 언어를 반영하고 있으므로 이들 사이의 언어 변화를 살피는 것은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예천 지역에서 간행된 석인본은 지역의 언어생활의 단면을 살피는 자료 가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value of Taegyo-Singi-eonhae in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It examined the bibliographical content of the handwritten version and the lithographic version of Taegyo-Singi, and compared them with the orthography and phonemes of Taegyo-Singi Eonhae. Taegyo-Singi Eonhae is what Yu Hee interpreted in the Korean language in 1801 based on Taegyo-Singi, which was written by Sajudang Lee, by dividing it into chapters and appending sounds. Other versions of Taegyo-Singi Eonhae include the handwritten version by Yu Hee, the lithographic version published at Yechoen Gyeongbuk in 1938, and the manuscript possessed personally. The handwritten version featured the orthography and phonemes of modern Korean language, while, the lithographic version followed grammatical rules of the 1930s when it was published on the basis of the same content as the handwritten version. Both the handwritten version and the lithographic version reflected the language at the time that they were published. There an examination of the linguistic alterations between them might be useful. In the same vein, the lithographic version published at Yecheon could be valuable as one of the materials shedding light on the linguistic life of a certain local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