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효과적인 학교폭력 예방을 위해서 긍정심리학적 활동을 수용하여 긍정 정서를 경험할 기회를 제공하고 인성강점과 긍정기관의 제고를 추구하는 인성교육이 필요함을 제시하는 것이다. 특별히 학교 폭력을 예방하기 위한 노력으로 이 연구는 가해자, 피해자 뿐만 아니라 가해·피해자 모두를 대상으로 하는 인성교육적 시도를 제언하였다. 이를 위해 개인의 심리적 요인의 특성이 무엇이며, 어떤 심리적 요인에 의해 학교 폭력에 개입하게 되는지를 살폈다. 뿐만 아니라 폭력행동을 유발하는 주변 기관, 즉 가정적 요인과 학교환경적 요인을 긍정 기관화를 통해 통제해 나간다면 학교폭력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뿐만 아니라 정신건강적인 차원과 긍정 정서의 교육, 마음챙김명상·사회정서학습과 회복탄력성 교육 등이 병행되는 긍정심리학적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at personality education is needed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experience positive emotions by accepting positive psychological activities for effective school violence prevention, and to enhance personal strengths and positive institutions. In particular, in an effort to prevent school violence, this study proposes a personality education approach to both victims and offenders as well as victims. For this, we want to examine what characteristics of psychological factors of an individual are and what psychological factors interfere with school violence. In addition, it suggests that if we control the surrounding institutions that cause violent behavior, that is, domestic factors and school environment factors, through positive institutionalization, it can help to prevent school violence. In addition, the psychological health dimension, positive emotional education, mindfulness meditation, social emotional learning, and resilience education will be combin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