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문학비평담론 연구에 있어 총체성의 관점이 제시할 수 있는 바를 고찰하기 위해 쓰여졌다. 리얼리즘의 근본개념의 핵심으로 여겨지는 ‘총체성’ 개념은, 리얼리즘의 퇴조와 함께 자연스럽게 그 의의를 상실하게 되었다. 그러나 사조적 문예방법론이 아닌 ‘리얼리즘 정신’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리얼리즘은 비평 그 자체와 의미 범주를 함께 한다. 이는 문학적 소통이 (재)생산하는 모든 의미가 사회정치적이기 때문이다. 더 이상 리얼리즘의 이름으로 비평을 행하지 않는 현재에도 리얼리즘과 총체성의 의의를 살리려는 논의들이 끊이지 않는 까닭은, 이 ‘리얼리즘 정신’ 측면의 비평 정신의 의의를 공유하는 의식 때문이다. 맑스 이래로 ‘총체성’에 대한 고찰은 개념적 세공에 치중돼온 것이 사실이다. 이는 사회주의 리얼리즘 문학론의 방법론적 강령에 의해 ‘총체성’ 개념이 고착됐다는 것에 가장 크게 기인한다. 하지만 ‘총체성’ 자체가 유물변증법적 관점에서 사회구조를 적확하게 포착하기 위해 그 틀로서 설계돼왔다는 데에도 그 원인이 있다. 맑스에서부터 루카치를 거쳐 제임슨에 이르기까지 세공된 ‘총체성’의 개념은, 헤겔의 변증법적 총체성을 정신분석적 관점에서 사유함으로써 초점을 달리할 수 있다. 이때 지젝의 라캉-헤겔에 대한 고찰이 운동성으로서의 총체성 개념으로 향하는 데에 길잡이 역할을 해준다. 본고는 정신분석적 개념인 ‘충동’과 헤겔의 변증법적 인식의 ‘운동성’이 갖는 상동성에 주목하는 지젝의 논리에 초점을 맞춰, ‘총체성’이 모순을 구조적 조건으로 삼는다는 것을 개념적 전제로서 이해하고자 했다. 나아가 여성성의 윤리를 ‘총체성’의 변증법과 만나게 하여 라캉과 헤겔을 연결하는 지젝의 논리를 통해, 운동성으로서의 총체성이 담론의 사회적 환상을 가로지르기 위한 선결 조건이 된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확인되는 것은 문학비평담론의 연구의 지향점이다. 총체성을 운동성으로 이해하는 분석의 관점은, 문학비평담론에서 총체화가 이뤄지는 지점을 구조적으로 이해한다. 문학비평이 개별 문학의 총체성과 비평적 관점의 총체성을 충돌시킴으로써 이데올로기를 구조적으로 드러내는 데에 기여한다면, 문학비평담론 연구는 이 이데올로기의 분석 및 재구성의 운동을 구조적으로 이해하여 그 형식적 과정을 분석해야 한다. 이는 담론의 층위에서 ‘환상 가로지르기’의 잠재성과, 새로운 이데올로기 생산의 토대를 검증하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was written to explore what the perspective of totality in the study of literary criticism discourse can present. The notion of “totality” considered as the essence of fundamental concept of realism naturally lost its implications with the waning of realism. However, realism is consistent with criticism itself and meaning category in terms of “realism spirit” not as the trend literary methodology, because all meanings (re)produced by literary communication are sociopolitical. The cause of discussion for activating the implications of realism and totality currently lies in the awareness of sharing the implications of criticism mentality in terms of “realism spirit.” Since Marx, the contemplation of “totality” has been focused on conceptual polishing. This is largely derived from the fact that the concept of “totality” has been established by the methodological doctrine of realism literary theory of socialism. However, there is a reason that the “totality” has been designed as a frame for accurately capturing the social structure in terms of materialistic dialectic. The polished “totality” concept ranging from Marx, Lukacs, and Jameson can shift the focus by thinking the Hegel's dialectic totality in terms of psychoanalysis. The contemplation of Zizek's Lacan-Hegel serves as a guideline for heading to the concept of totality as mobility. This paper aimed to focus on the Zizek's logic that focuses on the psychoanalytic concept “impulse” and the homology possessed by “mobility” of Hegel's dialectic awareness and understand the fact that “totality” sets paradox as a structural condition. Furthermore, it reviewed that the totality as mobility is a precondition for crossing over the social fantasy of discourse through Zizek's logic that connects Lacan with Hegel by encountering the ethics of feminity with the dialectic of “totality.” The orientation of study on literary criticism discourse is identified in this course. The analystic viewpoint that understands totality as mobility structurally figures out the point where totalization is made in the literary criticism discourse. Literary criticism collides totality of individual literature with that of critical viewpoint and contributes to reveal the ideology structurally, while the study on literary criticism discourse understands the analysis of this ideology and mobility of reconfiguration, and eventually analyzes the formal process. This can be said as the potential of “crossing over fantasy” on the level of discourse and verifying the basis of producing new ide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