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유학사상에 있어서의 도덕적 행복론과 인간존재에 대하여 연구한 것이다. 유학사상에 있어서의 행복의 근거는 ‘천명=성’이라는 유학 특유의 일원적 구조로 인성에 정초하고 있다. 행복은 인간의 주체적 도덕성을 바탕으로 하는 것이고, 이로부터 우러나온 것이야 말로 진정한 행복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욕망을 극복하며 모든 탓을 자기에게 구하는 것이 행복의 조건이 된다. 행복은 부귀에 있는 것이 아니라 자연과 함께 스스로 만족하는 내면세계에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유학사상의 행복이론은 도덕적 행복론이라 할 수 있다. 유학사상에서는 행복에 대하여 가까운 부모형제에 대한 행복으로부터 출발하여 인류 전체에 대한 행복에 이르기까지 넓혀져야 한다고 보았다. 또한 행복은 다름을 인정하고 다른 것들끼리의 조화를 도모하는 것이며, 이것이 또한 행복의 구경적 목적이 된다. 유학사상에 있어서의 행복의 문제는 ‘자기로부터 구하는’ 수양론에 귀결된다. 행복에 이르는 길은 대타적 학문과 대자적 사변의 병용, 조화의 추구에 있으니, 이것이 바로 행복의 수양공부라 하겠다. 유학사상의 행복론을 통해 우리는 오늘날 인간성 상실, 물질만능주의현상을 성찰하며 새로운 행복의 열쇠를 제공하게 하는 또 하나의 지혜와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Confucius’s thoughts on moral eudemonics and his view on humanity. Based on the theory that Human nature is equivalent to Heavenly Order, early Confucian thoughts suggest that the condition of happiness comes from the subjective morality or the cultivation of the mind and the body. So restraint of desire and reflection on wrongdoing without blaming others are conditions of happiness. The ultimate happiness comes not from the external materialistic condition but from one's self which agrees with nature. In this sense, it is plausible to suggest that the Confucian thoughts on happiness is moral eudemonics. Confucius says that one must extend one’s happiness outward from the closest family member to all of humankind. Moreover, happiness can be achieved when one acknowledges each other's differences and thereby promotes harmony. Confucian ideology focuses on the practice of cultivating mind and body by reflecting on the self. A path to happiness can be seen as the combination of the studies concerning for others and use of ‘in and for itself’ (대자적) thinking ,and the pursuit of harmony. Moral eudemonics in Confucius thoughts, therefore, can provide the room for reflecting the loss of humanity and materialism so as to have wisdom which guides us to the new paradigm of happi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