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토마스 키팅의 센터링 침묵기도와 그 신학적 철학적 유산을 소개한다. 센터링 침묵기도의 신학적, 철학적 배경을 이해하면서, 이 논문은 불교적 시각으로 기독교를 해석하는 전위신학적 방법론을 사용한다. 비록 센터링 침묵기도가 기독교의 관상기도에 대한 대중적 해석이며, 오늘날에 있어서 묵상과 침묵기도에 일정부분 공헌을 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 할지라도, 센터링침묵기도는 왜 기도하는 중 생각과 생각이 꼬리를 물며 내적으로 기도자를 방해하는지에 관한 명확한 해설을 하고 있지 않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유식불교의 제 7말나식을 이해하는 방식을 제안하고 있다. 이로써, 이 논문은 왜 다양한 타입의 내적 혼돈과 생각들이 기도자를 방해하고 있는지 설명하고 있으며, 만일 센터링침묵기도의 수행자가 유식불교와 에니어그램을 깊이 공부하여, 자신의 에고와 말나식의 흐름을 이해한다면, 더더욱 발전된 기도의 진전을 가지고 올 수 있다고 제안하고 있다.


This thesis starts by introducing Thomas Kitting’s centering prayer and its theological and philosophical heritages. Understanding centering prayer and its philosophical and theological background, this thesis uses the method of theology of transposition, which interprets Christianity from the perspective of yogacara Buddhism. Although centering prayer as a popular interpretation of the traditional contemplative prayer of Christianity has contributed current Christian culture of meditation and quite prayer, it does not explain clearly why mental distraction and delusion take place during quite meditation. This thesis suggests that the root of mental distraction is attachment and it suggests an an adoption of yogacara Buddhism, especially 7th consciousness of manas-vijnana. Through this process, this thesis explains the root of delusion attachment and attachment produces many different types of delusion and distraction during meditation as well as everyday life, and if a centering prayer trainee studies seriously on yogacara Buddhism, and understand his/her attachment through manas-vijnana, he/she will get more productive achievement of centering pray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