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은 증강현실게임이라는 낯선 소재를 바탕으로 제작된 드라마다. 그러나 그 주제의식은 그리 낯설지 않은 것으로, 환상계가 현실계로 침투할 때 인간이 취하는 태도를 다루고 있다. 기실, 현실계에서 세계를 대하는 기본적인 태도는 앎(知)이다. 지식과 정보를 통해 대상을 이해의 영역으로 끌어들이는 것이 앎의 매커니즘이다. 실제로 드라마 초반부에서 앎의 매커니즘은 성공적으로 작동했다. 그러나 환상계가 현실계로 침투하는 불가해(不可解)한 상황 앞에서, ‘알아간다’는 태도는 더이상 통하지 않는다. 그것은 말 그대로 이해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이에, 드라마는 여러 인물들이 취하는 태도를 통해 환상계 앞에서 인간이 택할 수 있는 선택지들을 보여준다. 그러나 환상계를 현실계의 앎으로 봉합하려는 방식도, 대상에 선재(先在)하는 틀을 앞세워 틀에 맞지 않는 것을 배제하는 방식도, 진실은 만들어내면 그만이라고 생각하는 방식도, 모두 진실에 접근하지 못할뿐더러 실패한다. 드라마에서는 이에 앎(知) 대신 믿음(信)이라는 태도를 대안으로 제시한다. 사랑에 기초한 믿음은 자기 자신까지 걸어야 하는 위험한 태도이지만, 유일한 해답이기도 했다. 그것은 추론과 이해를 거치지 않았음에도 진실에 도달한다. 이처럼 환상계 앞에서 앎 대신 믿음을 선택하는 것은, 그리 새로운 구도는 아니다. 그것은 이미 전기류 작품들에서 실험되어왔다. 특히 <이생규장전>이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에 비견될 수 있다.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환상계는 점차로 생생하게 구현될 것이며, 그에 따라 현실계와 구분하는 표지 역시 점차 흐릿해질 것이다. 그와 같은 미래가 현실이 되면, 인간의 세계 인식도 변화를 겪을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에 대해 미리 사유한다는 점에서도,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과 <이생규장전>은 의미를 갖는다.


The drama <Memories of the Alhambra> is based on a strange material; the Augmented Reality Game. Its main topic, however, is not that unfamiliar as the drama shows a series of actions people take when a fantasy world permeates a real world. In fact, ‘knowing’ is a basic manner to deal with a real world. The mechanism of ‘knowing’ is to drag a target into a field of understanding by us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and it actually works well at the beginning of the drama. But it doesn’t work under an inexplicable situation where a fantasy world permeates a real world as a fantasy world, literally, can not be understandable. Then, the drama shows several types of actions each character takes when they face the fantasy; some characters try to stitching up the fantasy world by ‘knowing’ under the real world, some others try to exclude things that are ill fitted for the form prior to the object, and some others believe the truth can be made whenver they need. However none of them can get close to the truth but only fail. The drama suggests ‘belief’ be the alternative of ‘knowing.’ The ‘belief’ based on love was dangerous enough to risk his/her life but it was the only answer. It reaches the truth even though it hasn’t gone through inference and understanding. As a matter of fact, it is not that fresh to choose ‘belief’ instead of ‘knowing’ in front of a fantasy world. It has been already tested in a series of Cheongi, and <Isaenggyujang-jeon> would be comparable to <Memories of the Alhamb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