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힐링열풍이 주도하던 자기계발담론이 점차 변화해 가는 양상과 국면을‘포스트힐링(Post-Healing)’ 이라는 시기적 개념으로 규정하고 포스트힐링 시기에 등장하는 주체들의 변화하는 관심영역들과 그것이 사회문화 차원에서 담론으로 기능하게 되는 과정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한다. 특히 근래 자기계발문화를 논의하였던언론분야 학술논문들을 대상으로, 신자유주의 통치의 사회문화적 특성을 비판적으로이해하는 이 영역에서 어떠한 논지와 대안들이 제시되고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한국사회 자기계발문화의 성찰적 발전 가능성을 논하고자 한다. 신자유주의 자기계발을논하는 최근 5년간 발표된 총 28건의 학술논문들은 공히 질적연구방법론을 취하는가운데 세부적으로는 담론분석이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었으며, 푸코의 통치성과 주체화 논의에 직접 기반한 연구가 절반을 차지하고 있었다. 시기별 주제상의 큰 변화는 없으나 신체에 기반한 주체화 양식 분석, 세대 연구, 한국사회 특정 사건이나 문화적 경향에 기반한 연구, 개인화되고 파편화된 자기계발문화 속에서 공동체의 의의를 다시금 상기시키는 대안 모색 같은 연구들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러한 구분을바탕으로 각 연구들이 제시하는 주요 논지를 주제별로 정리하여 제시한 후, 자본의 지배와 국가의 부재 속에 부유하는 개별화된 주체성을 저항하고 시장 권력의 명령을 거부하는 탈영토화된 자기 형성 내지 자기 통치에 대한 환기를 제안한다.


The healing phenomenon has acted as a mega trend in Korean society and culture, but now it has entered the post-healing period. This study examines the arguments and alternatives presented in the academic papers related to self-improvement in the field of communication published at this time, and explores the reflection alternatives of Korean society self-improvement culture. A total of 28 academic papers published in the last five years related to neoliberal self-improvement are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In detail, discourse analysis is the most common, and half of the studies are based on Foucault’s governmentality and subjectivity theory. The details of the topic do not change much by time, it consists of body-based subjectivity analysis, generation researches, researches on specific events and cultural trends in Korean society, and researches on alternatives to remind the significance of community. Based on this distinction, the main arguments discussed in each study are presented by topic, and then proposed a de-terrain self-formation and self-governmentality that rejects the order of market power and resists the individualized subjectivity that floats in the absence of the state and the domination of capit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