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한국어에서 의문사는 내용 의문문을 이루는 미지칭 기능 외에 미정칭과 부정칭으로도 쓰인다. 본고에서는 의문사에서 미지칭 기능이 기본이 되어 미정칭과 부정칭 기능으로 파생되는 근거를 여러 면에서 찾았다. 의문사는 미정칭으로서의 보조사 ‘나, 도, 든’ 그리고 ‘조차, 마저, 까지’ 등과 결합하여 부정칭 기능을 가져 부정뿐만 아니라 긍정의 ‘극성’을 나타낼 수 있음을, 의문사 ‘누구’와 부정사 ‘아무’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극성 실현은 일반적인 명사가 아닌 부정칭 기능의 의문사와 부정사와의 결합에서만 가능하였다. 의문사는 역시 미정칭으로서 이들 보조사 외에 ‘-으나, -어도, -든, -든지, -은들, -더라도, -을지라도, -되’ 등의 활용 어미를 가진 서술어와 공기하면서도 부정칭이 되어 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들 어미는 부정칭 의문사나 부정사가 아닌 일반적인 명사와 공기할 때에는 양보성 의미를 나타낼 뿐이다. 이처럼 극성 실현에 참여하는 보조사와 활용 어미는 그 형태가 상통한다.


In Korean, interrogatives is also used as undetermines and indefinitives 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unknowns that represents the question and constitutes the content question sentence. In this paper, I have found in many ways the grounds of unknowns in interrogatives, which are derived as undetermines and indefinitives.  It can be said that interrogatives can be expressed meaning positive and negative polarities by having the function of indefinitives in combination with auxiliary particles ‘na, do, deun’ and ‘jocha, majeo, kkaji’ as undetermines. I looked at this trough interrogatives ‘nugu’ and indefinite words ‘amu’ among interrogatives. The realization of this polarity is possible only in the conjunction of interrogatives and infinitives in the function of interrogatives, not a general noun. In addition to these auxiliary particles, interrogatives has also the function of indefinitives when doing co-occurence with verbal endings, ‘-euna, -eodo, -deun, -deunji, -eundeul, -deorado, -euljirado, -doe’ , and interrogatives can express polarity as like as the fuction of indefinitives. These verbal endings only express concessions when doing co-occurence with common nouns, not indefinitives or interrogatives. This type of auxiliary participates in the realization of the polarity and the these ending forms are co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