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산업생산의 시대가 가고, 문화생산 시대 가 도래하며 융복합시대로 접어들고 있는 시점에서 점차 문화마케팅의 중요성이 늘어나며, 이를 브랜딩에 적용해 성과를 올리고 있다는 점에서부터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관광분야에서 융복합적 성격의 마 케팅 전략으로 활용되는 문화마케팅요인이 브랜드 태 도 및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밝히는 것이다. 따 라서 본 논문은 방한 중국관광객을 대상으로 하여 문 화마케팅요인에 따른 세분집단별 관광지 브랜드 자산 및 태도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및 내용은 다음 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를 통해 연구의 기반을 마련하고, 문 화마케팅 요인을 확인할 설문지 작성 및 배포와 분석 을 통해 해당 집단을 저관여인식집단, 고관여인식집 단, 중관여인식집단 총 3개로 군집화하였다. 둘째, 세분시장별 브랜드 태도를 확인한 결과 관광 지 브랜드 태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특히 군집 2 가 높은 값을 보이고, 군집 3은 보통으로 나타났다. 셋째, 각 세분시장별 브랜드 자산인식의 차이에서는 관광지 지각된 품질,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이미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기존 선행연 구를 지지하며 본 연구의 가설로 채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문화마케팅 의 관광 분야 적용이 적고, 관광지 대상으로 확대가 필요한 시점에서, 요인에 따라 시장을 세분화했다는 특징을 가지며, 각 세분 시장별 브랜드 태도와 자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이론 및 실무적 시사점 측면 에서 의미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began with the focusing the growth of importance of cultural marketing and its successes by applying to branding in a phase in which the cultural production era has arrived after the industrial production era. This study aimed to reveal the effect of cultural marketing, which are used as marketing strategy in the tourism field, on brand attitude and awareness.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the brand equity and attitude in accordance with the cultural marketing factors by survey Chinese tourists visiting Korea. The result and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research question on the possibility of market segmentation in accordance with cultural marketing factors; the market segments were classified as Cluster 1 general involvement perceived group, Cluster 2 high involvement perceived group, Cluster3 middle involvement perceived group. Second, it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on brand attitude among the segments; Cluster 2 showed high brand attitude and Cluster 3 showed average level on brand attitude. Third, it fou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brand equity including perceived quality, brand awareness and brand image of tourism destin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was able to identify market segments in accordance with cultural marketing factors of tourism destination and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egments by brand attitude and brand equity. This could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 that various cultural marketing activities to generate positive results on brand equity and brand attitude and cultural marketing strategies is also needed to increase foreign tourists’ awareness of these cultural marketing activ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