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특수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리더십 효과를 양적으로 분석하고 일반화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 발표된 특수교사가 지각한 학교장 관련 리더십 15편을 선정하였으며, 23개의 효과크기로 CMA 3.0 프로그램를 활용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전체 효과크기는 0.674로 나타나 Cohen(1988)의 기준에 의하면 중간 크기의 효과크기를 보였다. 연구특성에 따른 효과크기를 알아보고자 학교유형과 종속변인의 범주에 따른 하위그룹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일반학교장의 리더십 효과크기가 1.299, 특수학교장의 리더십 효과크기가 0.581로 일반학교의 특수교사가 지각한 학교장 리더십 효과크기가 더 컸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종속변인의 수준에 따른 학교장 리더십의 효과크기는 개인 수준의 종속변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경우 0.446, 조직 수준의 종속변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효과크기는 1.037이었으며, 이러한 차이는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특수교사가 지각한 학교장리더십에 관한 메타연구의 시사점 및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ntitatively analyze and generalize the effects of principals’ leadership perceived by Korean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do this, we selected fifteen journal articles published in korea about principals' leadership related to the special teacher and conducted meta - analysis using CMA 3.0 program. As a result, the total effect size of principals’ leadership perceived by the special teacher was 0.674. The subgroup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categories of schools and group of dependent variables. As a result, the size of leadership effect of general school principals was 1.299 and the size of leadership effect of special principals was 0.581. The effect of school principals' leadership perceived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general schools was larger and thes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effect size of the school principals' leadership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dependent variables was 0.446 in the case of the research on the dependent variables of individual level,the effect size of the study on the dependent variables in the school organization level was 1.037. Thes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nd implications of the meta-research on the leadership of the school princip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