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보조용언은 본용언과 결합하는 명사구에 통사·의미적 변화를 가져오지 않으나 ‘싶다’ 보조용언 구문에서는 조사 교체 현상이 나타난다. 이는 다른 보조용언 구문과 구분되는 특징적인 현상이다. 이 논문에서는 보조용언 ‘싶다’가 포함된 ‘NP1이 NP2 V고 싶다’ 구문의 구성과 NP2에 나타나는 조사 교체 현상을 살펴본다. 이 논문은 ‘싶다’ 구문의 구문론적 특성에 의해 조사 교체가 일어난다고 보며, 교체되는 조사의 의미적 특징과 구문의 의미를 살핀다. ‘싶다’는 문법화가 되면서 다른 문장성분과 어울려 ‘NP1이 NP2 V고 싶다’ 구문을 형성하고 문장에 구문의 고유 의미인 [바람]을 투사한다. 문장 성분들과 상호작용하며 대상에 [선택 지정]을 부여하기 위해 조사 교체 즉 ‘에, 에서’가 ‘을’로, ‘을’이 ‘이’로 바뀔 수 있다. 그리고 조사 교체 전후의 문장의 서술구조, 논항, 의미역과 같은 통사적 변화가 없으므로, 교체되는 ‘이/가’, ‘을/를’을 의미역 조사로 본다. 다시 말해, ‘싶다’ 구문에서 대상에 더 주관화된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 ‘이/가’나 ‘을/를’로 교체되면 [선택 지정]의 의미가 나타난다.


The auxiliary predicate element doesn't bring a syntax·meaning change to a noun phrase which is combined with a main predicate element, but the postposition substitution phenomenon happens in a ‘shipda’ auxiliary predicate element sentence structure. It is unique phenomenon which make it different from other auxiliary predicate element sentence structure. This study will investigate the postposition substitution phenomenon appeared in the ‘shipda’ auxiliary predicate element sentence structure. This study took a view point that the postposition substitution happens by a syntactic characteristic of the ‘shipda’ sentence structure and examines the sematic characteristic of the postposition element being substituted and the meaning of the sentence structure. As ‘shipda’ becomes a grammaticalization, it forms ‘NP1(sub.) NP2 V(verb) shipda(would like to)’ sentence structure and projects [wish] to the sentence, which is the original meaning. Interacting with sentence elements, to endow a limitation to objects, the postposition substitution, ‘e, eseo’ could be substituted by ‘eul’ and ‘eul’ could be by ‘e’. And because there are no syntactic change like a description structure of a sentence in before and after the postposition substitution, argument and thematic role, this study looks ‘e/ga’ and ‘eul/reul’, which are being substitute', are the thematic role postposition. Saying it again, to endow a more subjectivized meaning to the objects in the ‘shipda’ sentence structure, the meaning of [specificity] is expressed by substituting them with ‘e/ga’ or ‘eul/re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