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채소․과일 섭취행동에 대한 계획된 행동이론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채소․과일 섭취행동에 대한 계획된 행동이론 변인의 영향력과 그 관계에서 낙관적 편향의 역할을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249명(남: 107, 여: 142)의 대학생이고, 이들의 평균 연령은 20.57(SD=2.14)세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에 근거한 채소․과일 섭취빈도목록, Fruit and Vegetable Module 질문지, 채소․과일 섭취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력 및 의도 그리고 낙관적 편향을 측정하는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지각된 행동통제력에서 채소․과일 섭취행동으로 직접 경로가 포함된 계획된 행동이론 모형을 채택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위계적 회귀분석에서는 계획된 행동이론 변인들이 채소․과일 섭취행동을 28.8%정도를 설명하고 있었으며 지각된 행동통제력이 가장 강력한 예언변인이었고, 거기에 낙관적 편향이 채소․과일 섭취행동을 1.9% 정도 추가적으로 더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낙관적 편향은 채소․과일 섭취에 대한 태도와 채소․과일 섭취행동 간의 관계를 조절하고 있었다.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채소․과일 섭취행동을 계획된 행동이론으로 설명하는 것이 타당하고, 낙관적 편향이 채소․과일 섭취에 대한 태도와 채소․과일 섭취행동 간의 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f a college student's fruit and vegetable intake, to explore the effects of variables from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n fruits and vegetables intake, and to evaluate the roles of optimistic bias in their relationships. The participants were 249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whose average of age was 20.57 (SD=2.14). The psychological tests used in this research included the following: a frequency list of vegetables and fruits based on Korean nutrition standards, fruit and vegetable module, questionnaires for attitudes, subjective norms, perceived behavior control, intention, and Optimistic Bias Questionnair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it is appropriate to adopt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model that includes direct pathways from the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to fruit and vegetable intak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variables from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had a 28.8% accountability for fruits and vegetables intake, in which the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was a determinant variable. In addition, there was an increase of 1.9% accountability of the optimistic bias for fruits and vegetables intake. Optimistic bias also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itude and fruit and vegetable intak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reasonable to account for fruit and vegetable intake as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the optimistic bi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relationshi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