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박완서와 모옌의 작품의 서사구조를 비교하였다. 비교의 준거는 나라와 나라 사이에서 전파되는 영향 관계의 시각에서 벗어나 소재와 모티브의 유사성에 있다. 두 작품의 서사를 통해 주인공이 산부인과 여의사라는 점, 그들의 일이 평생 생명을 훼손하는 일이라는 점, 원죄의식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점 등의 공통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강간, 낙태, 살인 등의 부정적 요소가 작품의 근간을 이루며 주인공들은 삶의 마지막에서 후회와 자책에 시달린다. 이처럼 「그 가을의 사흘 동안」과 『개구리』의 서사는 안팎으로 부정적인 서사로 이루어져 있다. 산부인과 여의사의 ‘폭력’은 개인의 원한과 과업을 폭력적으로 분출하는 양상이다. 그들의 ‘폭력’은 비정상적이고 병리적인 특징을 보인다. 평생 직업적으로 행한 일이 타인에 대한 ‘폭력’이므로 그들은 결코 죄의식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즉, 국가와 사회와 병원은 개인에게 권력을 행사하고 개인은 국가와 사회의 폭력에 희생양이 된다. 이 폭력은 죄의식으로 이어지고, 죄의식은 구원의 문제로 연결된다. 특히 두 작품의 폭력의 양상은 낙태와 살인이 방관과 기만의 허위의식과 겹쳐져 있다. 가해자이면서 피해자인 주인공들은 죄의식에 사로잡혀 있다. 주인공들은 죄의식을 해소하기 위하여 죽은 아이 대신에 채송화 씨를 심어 꽃밭을 만들려고 하거나 남편에게 인형을 만들게 한다. 주인공들의 누적된 죄의식을 속죄하려는 이러한 장치는 제의적인 속성을 드러낸다. 특히 「그 가을」의 주인공이 교회당의 종소리를 의식하거나, 『개구리』의 주인공이 제단에 향을 피우고 절을 하는 것은 제의적 의식이 종교적인 것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두 작품의 서사는 세 가지의 공통적인 특징을 드러낸다. 즉, 폭력과 억압의 반복, 죄의식과 구원에 대한 소망, 아기의 죽음과 자살 미수 등의 미완의 결말이다. 이때 「그 가을」의 마지막 장면에서 주인공이 죽은 미숙아를 안고 통곡하면서 교회당으로 흘러 들어간다든지, 『개구리』의 마지막 장면에서 자살하려는 고모의 밧줄을 끊은 커더우와 고모의 대화는 작품을 비극적으로 끝맺지 않고, 일말의 가능성을 열어두려는 작가의 의도적 장치이다. 일말의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주인공들이 진정한 회복에 이르렀다고 할 수 없다. 그들은 죄의식에서 벗어나려고 할수록 내면의 고통에서 헤어 나오지 못한다. 폭력적인 국가의 개입, 개인의 윤리적 무지와 외면이 함께 작용하였기 때문이다. 아울러 이러한 서사는 경계를 넘나들면서 가해자와 피해자, 생명과 죽음, 가짜와 진짜, 성과 속 등의 이분법적 구도를 해체하고 있다. 주인공 여의사들은 생명을 다루는 의사이므로 타인에게 전능하고 오만한 모습을 보인다. 그러나 그들이야말로 말년에 이르러 평생 생명을 함부로 훼손한 대가를 치른다. 생명에 대한 기형적 욕망으로 인해, 회복에 대한 갈망은 자기기만을 일삼다가 끝끝내 진실을 은폐한다는 점에서 공통적인 모습을 보인다.


The study is compared the narrative structure of Park Wan-seo and Mo Yan's works, based on the similarities of their material and motif, away from the view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 country and another one. Based on the aspect of violence, the two works share some similarities. For example, the main characters are a maternity doctor so their work is life-threatening and they are not free from a sense of original sin. In addition, negative elements such as rape, abortion, and murder form the basis of the work, and the characters suffer regret and remorse at the end of their lives. As such, "Three Days of Fall" and "The Frog" are composed of the narrative of "violence" inside and outside. The "violence" of a maternity doctor is a violent outburst of personal resentment and tasks. Their 'violence' is abnormal and pathological. They can never be free from a sense of guilt because what they have done professionally throughout their life is 'violence' against others. In other words, countries, societies and hospitals exert power on individuals, and individuals fall victim to their violence. This violence leads to a sense of guilt, and the sense results in salvation. Abortion and murder, in particular, overlap with the false sense of neglect and deception. The main characters, both perpetrators and victims, are obsessed with a sense of guilt. Instead of the dead children, they try to make a flower garden or have their husband make a doll. These devices, which try to expiate the accumulated sins of the main characters, reveal their prophetic properties. In particular, the main character of "The Fall" is conscious of the church bells and the main character of "The Frog" burns incense and bows to the altar. Their behavior is closely related to a religious ritual. The two narratives reveal three common traits: the vicious circle of violence and oppression, a sense of guilt and desire for salvation, and the unfinished conclusion of the baby's death and suicide attempt. In the last scene of "The Fall," the main character goes to the church unconsciously, carrying a dead premature baby. And in the last scene of "The Frog," Kudou cuts the rope to save his aunt from suicide and talks to her. The two last scenes show a slight possibility of hope instead of their tragedy. The main characters, however, have not reached their true recovery. The more they try to free themselves from a sense of guilt, the more they can't get out of their inner pain. It is because of the involvement of violent nations, the ethical ignorance of individuals and disregard of the truth. In addition, the narrative of violence breaks the dichotomous borders of perpetrators/victims, life/death, the fake/the real, and sacredness/snobbishiness. The main female doctors are doctors, so they show the power and arrogance to others. But in their later years, they have to pay the price of their life-threatening sins. Due to their deformed desire for life, their desire for recovery end up hiding the truth through self-delu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