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시각단어 재인 시 점화-표적 간 의미적 연관성과 단어빈도(표적용언 어간의 빈도)가 어떤 관계를 맺고 있으며, 의미적 맥락과 단어빈도 그리고 두 요인의 관계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고찰했다. 이를 위해 한국어 모어화자 144명을 대상으로 SOA 43ms 차폐점화 어휘판단 과제, SOA 230ms 시각점화 어휘판단 과제 그리고 교차양상 점화 어휘판단 과제를 시행했다. 연구결과를 보면. (i) 모든 과제에서 고빈도 표적이 저빈도 표적보다 더 빨리 처리되었으며, (ii) 모든 과제에서 점화와 의미적으로 관련된 표적을 처리할 때 무관한 표적을 처리할 때보다 반응시간이 짧았고. (iii) 의미적 맥락과 단어빈도 간 상호작용은 SOA 43ms 차폐점화 과제의 저빈도 표적에서만 유의미했다. 끝으로, (iv) 교차양상 과제에서 유의미한 의미점화 효과를 보였으나, 빈도를 나누어 고빈도와 저빈도 표적을 살펴보았을 때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단어빈도와 의미적 관련성이 한국어 시각 어휘처리에 영향을 주나 자동적 의미점화의 초기시점에서만 의미적 맥락과 단어빈도가 상호작용적 관계를 나타내며, 점화와 표적이 서로 다른 감각경로로 제시될 경우 점화가 표적의 감각경로로 변환됨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는 어휘처리의 다단계 활성화 모형과 변환 가설을 지지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The present study aims at investigating how semantic context and word frequency have effects on visual word recognition in Korean, and how these two factors interact with each other. A primed lexical decision task was implemented on 144 Korean native speakers with three conditions: visual target verbs paired with visual prime nouns with SOA (stimulus onset asynchrony) 43ms inbetween, visual targets paired with visual primes with SOA 230ms inbetween, and visual targets paired with auditory primes with no delay inbetween. The results revealed that, (i) high-frequency targets were recognized faster than low-frequency targets; (ii) targets preceded by semantically associated primes were recognized faster than those preceded by not associatively related primes; (iii) greater priming for low-frequency targets was found only at the SOA 43ms condition withou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s of semantic context and word frequency; finally, (iv) no statistically signigicant facilitatory semantic priming effects were shown for both high- and low- frequency words at the cross-modal condition despite signigicant main effects for semantic congruency. The findings suggest that semantic context and word frequency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visual word recognition in Korean although the interaction between semantic context and word frequency may occur only at the initial period of automatic semantic priming, and that auditorily presented primes are likely to be converted to the other modality during reading visual targets in Korean. These results can be considered as a supportive evidence for multistage activation model and conversion hypothe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