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에서는 이문열의 『시인』에 나타난 탈영토화의 양상에 주목했다. 이를위해『시인』에 형상화된 김병연(김삿갓)의 노마드적 행적, 그리고 김병연이추구했던 창작의 태도와 시세계관이 어떻게 변화했는지에 주목한 분석을 했다. 먼저 김병연은 조선의 감시체제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영토화와 재영토화를반복하고 있었다. 공령시에서 장원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조부에 의한 연좌제로 인해 지속적인 이동을 할 수밖에 없었다. 그의 ‘떠돎’은 조선이 세운 강력한이데올로기에 대한 도전이기도 하거니와 조부로부터 이어진 혈연관계, 즉 계열화를 부정하기 위한 응전의 한 행태였다. 탈영토화는 김병연에게 자유로운 시 세계를 생성할 수 있게 해주는 동력이되었다. 조선의 시스템에 들어가서 시를 쓰는 것은 상류층의 구미만을 맞추는 것이기에, 이를 거부하고 과감히 탈영토화를 꿈꾸었던 것이다. 결국 김병연은어떤 기원으로 올라가지 않고 의미화의 계열에서 끊임없이 벗어나는 리좀적사유를 통해 자유로울 수가 있었으며, 무언가가 생성하는 잠재성 안에서 ‘0’의시 세계로 나아갈 수 있게 되었다.


This paper focused on the aspect of de-territorialization in LeeMoon-yeol's The Poet I focused on Kim Byeong-yeon's infranomadbehavior, which was shaped in The Poet, and how Kim Byeong-yeon'sattitude of creation and poetic world view changed. First, KimByung-yeon was repeating territorialization and re-territorialization inorder to escape from the surveillance system of the Chosun Dynasty. Despite winning the poetry test, he was forced to continue movingbecause of his grandfather's sins. His ‘wander' is a challenge to thepowerful ideology established by the Chosun Dynasty, as well as aresponse to denying the blood relations and affiliation that led to hisgrandfather. De-territorialization has become a driving force for Kim Byung-yeonto create a free world of poetry. He wrote poetry in harmony with thesystem, which was only to match the upper class, so he refused anddreamed of de-territorialization. In the end, Kim Byung-yeon was able tobe free through the Risome thinking that constantly escapes from the lineof semantics, without going back to any fundamental meaning or origin,and was able to move to the poetry world of '0' in the potential of somet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