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임헌회는 19세기 중반 기호학계를 대표하는 인물로서 기호학파 낙론계 성리설의 입장을 대변하고 여론을 형성하던 상징적 인물이었다. 임헌회의 성리설에서 주목되는 것은 심을 구성하는 기를 기질과는 차별적으로 이해하여 인간 마음의 도덕적 특질을 확인하는 것이었다. 즉, 임헌회는 인간의 도덕행위를 보다 현실화하기 위해 심과 기질을 차별적으로 이해하여 심 차원에서 도덕행위의 가능 근거를 확보하려 했다. 뿐만 아니라 19세기 심설논쟁의 핵심 쟁점 가운데 하나인 명덕과 관련해서는 명덕주리를 비판하고 명덕주기를 주장함으로써 기호학파 낙론계 성리설을 통해 조선 성리학의 정통성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그동안 19세기 성리학 연구와 관련하여 임헌회는 이항로, 기정진, 이진상을 비롯하여 그의 제자인 전우와 비교하더라도 의미있게 언급되는 대상이 아니었다. 그러나 앞서 밝혔듯이 임헌회는 19세기 심설논쟁에서 기호학파 낙론계 성리설의 입장을 대변하는 인물이었으며, 19세기 중반기 기호학파 낙론계 성리설의 흐름을 이어주는 상징적 인물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임헌회의 성리설에서 논의된 내용들은 제자인 전우에게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으며, 전우는 임헌회 사후 본격적으로 화서학파, 노사학파, 한주학파를 비판하는 여러 저술들을 발표함으로써 그의 학맥은 계속해서 성리학계를 주도하게 된다.


This paper is aimed at studying Gosan Lim Heonheo’s theory of the nature and principle. Lim was a philosopher who represented the neo-confucianism of late Chosun dynasty and took off Nak School of Kiho school which was represented by Yi I and was parted by Kim Changhyeop especially. Lim, therefore, built his own neo-confucian system while defining naknon school’s neo-confucianism of Kim Changhyeop, Kim Wonhaeng, O huisang and Hong Jikpil based on Zhu Xi and Yi I. In the 19th, the philosophical issue was the ontological explanation about the Mind and Bright virtue. Lim’s theory of Mind and Bright virtue has some aspects as the result of analysis and synthesis of his senior scholars of Nak School. His criticism about concerning Mind and Bright virtue as Li and his argument concerning these are Qi were synthesis which are his work of studying on neo-confucianism of Zhu Xi, Yi I and theory of Kiho Nak School. Therefore, I will first review Lim’s school of thought with consideration for the succession of the Nak School. Second, I will discuss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 structure of Lim’s school of thought. Finally, I will confirm the philosophical significance of Lim’s school of thou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