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일차적으로 양명학이 전래된 초기에 조선의 성리학자들이 드러내었던 비판적 인식의 양상을 검토하는 것이다. 또한 이를 통해 조선 시대 전반에 걸쳐 양명학 비판의 성격이 어떻게 변모되었는지 살펴보는 것이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이다. ⓛ 본 연구에서는 먼저 『전습록』의 유입 과정과 김세필의 양명학 비판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작업을 통해 초간본 『전습록』의 최초 유입자는 김세필 본인이거나 그가 속해 있던 사신단일 가능성이 크다고 보았고, 김세필이 박상과 주고받았던 「우화눌재」는 다양한 번역들이 있지만 결론적으로 양명학 변척시라고 주장하였다. ② 이어서 본 연구에서는 「전습록논변」에 인용된 『전습록』의 구절들을 언급하고, 이황의 양명학 비판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 작업을 통해 이황이 양명학을 부분적으로만 이해하였다고 보았고, 그가 이러한 부분적 이해에 기초해 양명학을 비판하거나 육구연의 사상을 선학으로 규정한 뒤 관련 계통의 마지막에 왕수인을 위치시켜 비난했다는 사실도 확인하였다. ③ 끝으로 본 연구에서는 후속 과제들을 제언하였는데, 첫째는 김세필이나 박상의 사상에 대한 전모를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철학, 사학, 문학 등의 학제 간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둘째는 이황의 양명학 비판에 대한 연구가 대단히 많이 축적되어 있으므로, 새로운 연구 성과의 창출을 위해 메타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pects of the critical perception exhibited by neo-Confucian scholars of Joseon Dynasty in the early days of the entrance of Yang-Ming studies. And it is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to look at how the nature of criticism of Yang-Ming studies has changed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In this study, we first looked at the entrance process of <Chonsumnok> and the criticism of Yang-Ming studies of Kim, Se-pil. Through this work, the first person to enter the <Chonsumnok> was likely to be Kim, Se-pil himself or the envoys to which he belonged. And Kim, Se-pil’s poems argued that there were various translations but ultimately opposed Yang-Ming studies. This study then discussed the passages from <Chonsumnok> quoted by Lee, Hwang and the criticism of Yang-Ming studies of him. This work also confirmed that Lee, Hwang only partly criticized Yang-Ming studies and misunderstood it as Zen Buddhism.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follow-up tasks. First, a comprehensive study of philosophy, history and literature is needed to get a good grasp of the ideas of Kim, Se-pil and Park, Sang. Second, as Lee, Hwang’s critical work on Yang-Ming studies has accumulated a lot, a meta- approach is needed to create new research res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