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학업성취 수준에 따라 그릿과 행복추구경향이 대학생의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광주·전남지역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308명의 자료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의 학업성취도를 중심으로 군집분석을 통해 성적 상위집단(212명)과 하위집단(96명)으로 구분한 뒤 집단별로 그릿(흥미유지, 노력지속)이 행복추구경향(몰입추구경향, 의미추구경향, 즐거움추구경향)에 미치는 영향력과 그릿 및 행복추구경향이 대학생의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성적 상위집단에서 그릿의 흥미유지는 즐거움추구경향과 부정정서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력이 있었으나, 성적 하위집단에서 흥미유지는 행복추구경향과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력도 없었다. 그릿의 노력지속은 성적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에서 몰입추구경향, 의미추구경향, 긍정정서에 정적 영향력을 주었으나, 노력지속의 즐거움추구경향에 대한 영향력은 성적 상위집단에서만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또한 성적 상위집단에서는 행복추구경향성 중 몰입추구경향과 의미추구경향이 긍정정서에 정적 영향력이 있었으나, 하위집단에서는 이와 달리 의미추구경향만이 긍정정서에 정적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성취가 다른 두 집단의 특성을 논의하고,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grit and orientation to happiness on the happiness of undergraduate students according to levels of academic achievement. The data of 308 undergraduate students were analyzed. In accord with academic achievements,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a high academic achievement (HA) group (n=212) and low academic achievement (LA) group (n=96) using cluster analysis; the effect of grit (consistency of interest, perseverance of effort) on orientation to happiness (pursuit of engagement, pursuit of meaning, pursuit of pleasure) and the effect of grit and orientation to happiness on the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of undergraduate students were then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nsistency of interest in grit in the HA group had a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 on the pursuit of pleasure and negative emotions, but the consistency of interest in the LA group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on orientation to happiness and sense of happiness. Perseverance of effort in grit had a positive effect on pursuit of engagement, pursuit of meaning, and positive emotions on both the HA and LA groups, but the influence of perseverance of effort on pursuit of pleasure was significant only for the HA group. In addition, pursuit of engagement in orientation to happines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positive emotions only in the HA group. Using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levels of academic achievement in the two groups are discussed, and the significance of the present study are pres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