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Luhmann과 Bourdieu는 분화된 사회의 구조적 특성을 분석하는데 있어 설득력 있는 이론적 자원을 제공하는 대표적인 학자들로 간주된다. 본 연구는 사회의 기능적 분화와 불평등의 문제와 관련해서 이들이 제공하고 있는 이론적 자원들을 비교․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두 이론가가 어떻게 현상학적 사유의 성과를 수용하여 기존 구조주의 맹점을 이론적으로 극복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둘째, 복잡하게 기능적으로 분화된 사회의 관찰과 진단을 위해서 두 이론이 어떤 설득력 있는 개념적 장치를 제공하고 있는지, 셋째, 두 이론이 복잡하게 기능적으로 분화된 사회의 불평등 문제를 어떻게 관찰하고 있는지를 비교․분석한다. 두 이론가는 일견 보이는 학문적 태도의 상이성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사회의 불평등 문제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서 오히려 확산되고 있음을 지적한다. 또한 두 이론가는 분화와 불평등 문제에 접근하는 개념적 수단과 관찰가능성에 대한 이견에도 불구하고, 다양하게 분화된 부분체계들(또는 장들)에서 생성되는 구별과 배제의 불평등 문제는 심각한 사회적 과제라는 진단에 의견을 같이 한다. 기능적 부분체계들에 의한 배제의 상호효과를 지적하는 Luhmann의 관찰과 생활양식 연구를 통해서 전인적 배제를 경험적으로 관찰하려는 Bourdieu의 접근은 상호 화해의 접점을 찾는다면 분명 분화된 사회의 불평등 연구를 확장시킬 수 있는 중요한 이론적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Luhmann and Bourdieu are considered two of the most significant scholars that provide theoretical resources in analyzing the structural properties of differentiated society. The following research attempts to compare the theoretical resources provided by both sources regarding social differentiation and inequality. In order to do this, we must first look at how the two theorists employ the results of phenomenological thinking to overcome the blind spots of structuralism. Second, we must analyze how the two theories provide a persuasive conceptual tool for the observation and diagnosis of differentiated societies. Third, we must compare how the two theories observe inequalities in differentiated societies. The two theorists, despite their different academic attitudes, attribute the spreading problems of inequality in modern society to many reasons. Despite their different opinions on the conceptual methods for the approach on differentiation and problems of inequality, the two theorists agree that problems of inequality,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formed in functional systems(or fields) are a serious social issue. If we can reconcile the observations of Luhmann, who notes the interaction of exclusion by functional systems, with the approach of Bourdieu, who attempts to observe exclusion through the study on lifestyles, then we will be able to use it as a significant theoretical resource in extending our research on social inequality in differentiated socie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