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온라인에서 생산되는 혐오표현 게시글이 수용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제3자 효과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온라인에서 공유되는 혐오표현이 담긴 게시글을 보거나 접한 적이 있는 175명의 성인 SNS 이용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온라인 혐오표현 게시글에서 자신보다는 일반 성인들에게, 일반 성인들보다는 어린이․청소년들에게 더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편향 지각하는 제3자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SNS 이용시간과 스스로 혐오표현에 대해 찾아보는 정도가 제3자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혐오표현 법적 규제에 대한 태도는 혐오표현이 본인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할수록 법적 규제를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혐오표현 법적 규제에 대한 태도가 제1자 효과에 의해 설명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미디어의 부정적 메시지를 다룬 제3자 효과 연구에서는 편향 지각에 의해 규제 태도가 영향을 받았지만 온라인에서 유통되는 혐오표현 게시글의 경우 사회적 거리가 먼 타인보다 자신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때 혐오표현 게시글 규제를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effect of hate speech posting online on third-person effect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adult SNS users who saw or had access to posting containing hate speech shared online. Analysis revealed that third-person effect of online hate speech posting featured a greater negative effect on children and adolescents compared with adults. SNS usage time and searching for hate speech posting were also influenced by the third-person effect. Attitudes to hate speech legislation have been shown when the more he thinks that hate speeches affect him negatively, the more he supports legal regulations. Regulation on online hate speech posting confirmed that although messages contain negative content, their effect on themselves rather than others is valid. This means that attitudes toward legal controls can be explained by the effects of the first-person. A third-person effect study on negative messages from various media found that although regulatory attitudes were influenced by bias perception, online hate speech posting supports regulation when they negatively affect themselves rather than others at a social dist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