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여성국극은 해방 직후 생겨나 1950년대 후반까지 한 시대를 풍미했으나, 이후 급격히 쇠퇴해 간 창극의 한 형태이다. ‘전통문화’로서 여성국극에 대한 기왕의 사회적, 민속학적 평가는 줄곧 부정적이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주로 여성주의적 접근에 의해 여성국극의 재평가 작업이 활발히 이루어진바, 이 글에서는 그 재평가의 성과들을 발판으로 그것이 판소리 심지어 창극과도 다르게 무형문화재의 담론으로부터 배제된 까닭을 고찰해 보았다. 그렇다고 이 글은 여성국극이 갖는 무형문화재로서의 가치를 구명하거나 재평가하는 데 목적이 있지 않다. 오히려 여성국극이 한 시대를 풍미하고 명멸해 간 과정과 자취를 따라가며, 그것이 어떻게 당대의 대중적인 국악 장르로 급부상하게 되었는지, 그리고 어떠한 논리로 무형문화재에서 배제되었는지를 분석하고, 그 배제의 논리가 어떤 관점과 담론을 통해 자명한 것으로 정당화되었는지를 고찰했다. 나아가, 기왕의 민속학적 무형문화재론이 배제한 여성국극의 경우와 같이, 근대의 대중들과 그들의 사회정치적 현실이 창출한 문화의 혼종과 변종들이야말로 민속학이 주목해야 할 ‘살아있는’ 연구 대상임을 강조했다.


Women's traditional opera was a genre of Changguk(korean traditional opera) that emerged shortly after the liberation and was in vogue until the mid-and-late 1950s, then rapidly declined. The social evaluation of it has been negative ever since shortly after the decline. But recently, there has been a sign of change in the evaluation of it. In this article, I turned back the time and space in the context of the postwar 1950s when the women’s traditional opera was forming and declining, and traced why it was excluded from the discours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ifferently from Pansori or Changguk. It should be made clear, however, that this article did not aim at exploring or reassessing the value as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the women’s traditional opera. Rather, this article focused on how the opera has emerged as a representative national music genre in the era, and then in which logic, it was excluded from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it examined by what point of view and discourse the logic was justified as apparent, and then based on the apparent reason the women's traditional opera was excluded from the definition and scope of folklore(folk art) too. Eventually this article relativized epistemological and discursive relatedness between folk and cultural herit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