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에도가와 란포의 「애벌레(芋虫)」에 나타난 그로테스크와 그 의미를 고찰한 것이다. 이 작품에서 상이군인을 통해 나타난 이형의 신체는 그로테스크한 분위기를 조성하는 가운데 희화화 및 사물화 되며 그로테스크를 심화하고 있었다. 란포의 「애벌레」에 나타난 그로테스크는 에로ㆍ그로 시대 독자들에게 무료한 일상의 자극제 역할을 했다. 이형(異形)의 신체를 보여주는 방식에서 근세 미세모노의 영향을 찾을 수 있었다. 이형의 신체를 매개로 독자로 하여금 ‘추한 육체를 관조하는 매혹’을 음미하게 하였고, 어린 시절의 향수를 불러일으켜 추억을 회상하게 하였다. 또한 군국주의가 확산되어가는 상황에서 독자로 하여금 기존의 현실을 비평적으로 인식하게 하였다. 상이군인을 극단적인 상황에 몰아넣으며 뒤틀린 현실의 균열을 명백히 드러냄으로써 독자로 하여금 기존의 현실에 의혹을 갖게 하였다. 그로테스크를 생성하는 매개체인 이형의 신체는 표면적으로 시대적 풍조에 따라 공포와 결합한 웃음을 유발하기 위한 장치로 보이지만, 그 이면에는 근대 일본 제국주의의 문제점을 환기하는 기능이 내재되어 있었다. 란포의 「애벌레」가 호평받는 이유는 기괴한 상상력을 발휘해가는 가운데 전통적 미세모노에서 이형의 신체를 취급하는 방식을 동원하여 근대화의 이면을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라 여겨진다. 그것이 란포 작품에 나타난 그로테스크의 특징일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speculate on the grotesque shown in Edogawa Rampo's 「The Caterpillar」 and its meaning. The grotesque body of the disabled ex-serviceman in the novel looked more grotesque through caricature and reification. The grotesqueness in 「The Caterpillar」 was a stimulative to insipid daily life of readers in the Ero-Gro period. It was suggested that the way to show the disabled body was affected by the Misemono of modern times. The novelist used the disabled body to make readers appreciate attractiveness of ugly bodies and retrospect the past through memories of childhood. He also stimulated readers to recognize reality in a critical way under the situation where militarism proliferated, As the disabled veteran encountered extreme situations and cracks in distorted reality were clearly revealed, readers began to be doubtful about reality. Although it seems that the grotesque disabled body is a device to evoke laugh combined with fear according to the historical trend, it worked to make readers reconsider problems of Japanese Imperialism. It was understood that Rampo's 「The Caterpillar」 was loved because it revealed the different sides of modernization by using the way to treat the disabled body in the traditional Misemono through grotesque imagination. That is a characteristic of the grotesque shown in the novel by Rampo.


本稿は、江戸川乱歩の「芋虫」におけるグロテスクとその意味を考察したものである。この作品において傷痍軍人の身体はグロテスクな雰囲気を醸していた。そして戯画化かつ事物化されることでグロテスクさを増していった。 乱歩の「芋虫」におけるグロテスはエロㆍグロ時代の読者の日常に刺激を与える役割をしていた。異形の身体の見せ方から近世日本における見世物の影響が見られた。異形の身体を媒介にして読者に「醜い肉体を鑑賞する魅惑」を感じさせ、かつ幼年時代の郷愁を誘い、思い出を呼び覚ました。また軍国主義が広まる中で読者に既存の現実を批判的に捉えさせた。傷痍軍人を極端的な情況に追い詰めて現実のねじれを認識させて読者に既存の現実に疑惑を持たせた。 グロテスクを作り出す媒介としての異形の身体は、表向きには時代の風潮にしたがって恐怖と結合した笑いを誘うための装置に見えるものの、その裏面には、日本帝国主義の問題を喚起する機能が内在していたと思われる。乱歩の「芋虫」が好評を得ている理由は、奇怪な想像力を発揮していく中で、伝統的見世物における異形の身体の取り扱い方を真似て近代化の裏面を物語っているからでなかろうか。それは乱歩作品におけるグロテスクの特徴であろ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