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원명교체기의 제주도, 특히 牧胡의 난을 중심으로 제주도의 해양사적 위치에 대해서 소견을 피력하고자 한다. 牧胡의 난은 요컨대 고려정부가 제주도를 원의 지배에서 탈환하는 과정에서 벌어진 사건이었다. 그것은 공민왕의 고려정부가 수백 척의 배와 수만 명의 병력을 동원한 일대 전쟁으로서 이것은 공민왕의 반원자주정책의 일환으로 동녕부 공격과 같은 성격에 속한다. 그런데 고려의 영토회복운동이 한편으로는 몽고제국의 유산의 상속분쟁으로서 평가되고 있는 것은 일리가 있기는 하지만 고려 역시 역사적 정당성의 근거가 없지는 않다. 한편, 제주도의 역사는 이러한 점에서 전혀 배제되어 있는 것도 사실이다. 원명교체기의 동아시아 해역에서는 원대와 비교해 제주도의 역사적 위상에서 큰 변화가 일어났는데 본고에서는 해양사적 입장에서 그 역사적 의미를 밝혀보려고 한 것이다. 그 역사적 의미란 요약하면 원명제국의 교체 이후 해양의 폐쇄와 조공질서의 강화라는 것인데, 이러한 정치-해양사적 환경에서는 ‘동아지중해’의 개념은 성립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점을 결론적으로 지적하고 싶다.


This essay is to illuminate the historical character of Jeju Island in the East Asian maritime environment, especially focusing the historical character of “Paradise Island of Jeju” probably which has been made by the hundred years of amalgamation of the Mongolian resources of human power and pastoral culture with the native human and natural environment of the Jeju island. But through the long rebellions of Barbarian Shepherds(1356~1374) happened in the era of Yuan-Ming interregnum, all this image or the character made changed. The suppression of the rebellion by the Koryo government is sometimes evaluated as an inheritance dispute of Mongol legacy, but this does not seem to represent all the truth of the event. Actually nobody can disregard the Mongol legacy. The man who first penetrated into the maritime importance of Jeju Island in East Asia and gave it an economical ground was Khubilai. But we should not disregard the historical legacy of Koryo dynasty either whose relation with Jeju was much longer than Mongol. And the last and not least is the story of Jeju people themselves which is usually omitted in official history. This paper is to describe the historical character of Jeju Island in the Yuan-Ming interregnum era in the point of maritime history. The historical change is, to sum up, the closure of the Yellow Sea and the reinforce of tributary order. Through this conclusion I would like to remark that in this East Asian politico-maritime environment one can hardly sustain the concept of ‘East Asia Mediterran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