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사회 불안과 우울은 높은 공존률을 보이는 심리적 문제이다. 두 장애가 공존하는 경우, 한 가지 장애만 있는 경우에 비해 더 부정적인 예후를 예측하는 것으로 알려져, 적절한 치료 및 예방적 개입을 위해서는 두 장애가 공존하게 되는 조건을 밝히는 것이 중요한 실정이다. 이에본 연구는 사회 불안에서 관찰되는 특성이 우울의 발현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두 심리적 문제가 공존할 수 있다는 견해에 기초하여, 사회불안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긍정적 사회적 결과에 대한 가치 절하의 매개 역할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19세 이상의 성인 147명을 대상으로 사회 불안, 우울, 긍정적 사회적 결과에 대한 가치 절하 경향성을 측정하였다. 부트스트래핑(boot strapping)을 이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사회 불안이 긍정적 사회적 결과에 대한 가치 절하를 통해 우울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사회 불안이 사회적 상황에서 경험하는 긍정적 사회적 피드백을 긍정적인 의미로 받아들이지 못하게 함으로써 우울 증상의 발현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 불안과 우울의 공존을 설명하는 인지적 요인으로써 긍정적 사회적 결과에 대한 가치 절하 경향의 역할을 논의하였다.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are mental health conditions that exhibit a high rate of comorbidity.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the co-occurrence of the two conditions is associated with a negative prognosis. As such, it is important to identify conditions under which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may co-occur. The present study thus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disqualification of positive social outcom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This is based on the comorbidity model which suggests that social anxiety acts as a causal risk factor for secondary depression. A total of 147 adults (36 males and 111 females) participated in the study. Bootstrapping procedures were used to test for a mediation effect. The results indicated that social anxiety is indirect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through the mediating mechanism of disqualification of positive social outcome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socially anxious individuals are more likely to experience difficulties in extracting positive meaning from positive social feedback, which then may lead to the development of depressive symptoms. The implications for the comorbidity between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