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Korea’s abrupt transition into modernization was followed closely by Japanese colonialism at the turn of the twentieth century. With this social and political upheaval came the sudden hegemony of novel ideologies over an established traditional Confucian system. In public discourse and literary representations of early modern Korea, women figured as emblems of the country’s larger existential crisis. In addition, the kisaeng (generally known as female entertainers in pre-modern Korea) occupied a precarious ambiguity in the public sphere as innovators of new cultural trends and persistent obstacles to domestic morality. This study examines this ambiguity as a productive, creative deliberation regarding changing roles of women in Korea. I focus in particular on the hybridization of traditional imagery depicting female chastity (chŏngchŏl) in Yi Hae-jo’s fictionalized biography of the kisaeng, Kang Myŏng-hwa, which localized aesthetics of feminism and free love ideology for Korean reading publics. Through the biographical text of Kang Myŏng-hwa chŏn, the chaste kisaeng archetype relives the classical narrative of Ch’un-hyang and her virtuous wifely love for an aristocrat. In effect, Ch’un-hyang is remythologized in Kang Myŏng-hwa in the twentieth-century as a bridge between the past and modernity.


20세기 초 일본식민지 제국주의의 거센 물결 속에서 조선의 근대화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었다. 오랜 유교 전통적 제도 위에 새로운 사상과 사회 정치적 변화가 일어나고 있었다. 문학에서는 여성의 존재가 거국적 위기의 상징으로 표현되기 시작했다. 또한 기생은 새로운 문화 기류의 창시자이며 동시에 가족적 윤리에 큰 해가 되는 존재로 떠오른다. 기생의 사회적 모호성을 통해 당시 조선의 새로운 여성상을 고찰해 본다. 특히 이해조의 기생 강명화가 나타내는 전통적 정절의 이미지와 당시 문학에서 추구한 자유연애 사상과의 복합적 이미지에 초점을 맞춘다. 강명화전에서 정절 기생의 원조라고 할 수 있는 춘향과 그의 일부종사의 철학이 20세기 환생을 한다. 다시 말해서 춘향이 20세기에 강명화라는 새로운 인물로 등장하여 과거와 현재를 잇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