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is study begins with questions about the politics of menstruation that have been unspoken and neglected issues in Korean feminist history. Menstruation first appeared in social discourse in Korean society, raised by a few women’s groups in the midst of the new feminist movement. This study examines three activities of the movement: the “Menstruation Festival,” “Pad Up–Down Campaign,” and “Bloodsisters Solidarity” for evaluation as historical cases of Korean menstrual activism, 1999–2012. It considers the strategies and differences in sociocultural contexts wherein concerns about menstruation converge with the feminist agenda. Characteristics of menstrual activism in Korea surfaced in issues pertaining to women’s health advocacy, Young Feminist cultural feminism, radical feminism and eco-feminism surrounding the “alternative menstrual pad” movement. These processes of the menstrual activism of grassroots women’s groups are examined here and reveal that the dominance of consumerism and the androcentric, gender-discriminatory culture are related to the gender politics of menstruation in South Korea.


한국 사회에서 월경이 사회적 담론으로 등장한 것은 1990년대 후반에서 2000년대 초반 영 페미니스트들의 월경페스티벌 문화운동, 한국여성민우회의 소비자운동, 여성환경연대의 여성건강운동, 피자매연대의 급진적 환경대안운동 등 새로운 여성운동의 흐름 속에서였다. 본 연구는 특정 시기에 나타난 이들 활동이 최초의 한국의 월경 액티비즘의 역사적 사례로서 재평가될 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본 연구에서 월경 액티비즘은 집단적 사회 운동의 형태로서 월경 문제의 실천적 특성을 가시화하기 위한 용어로 사용한다. 이 시기 한국의 풀뿌리 여성 집단에 의해서 전개된 월경 액티비즘은 “대안 생리대 운동”을 중심으로 전개된 특징을 갖는다. 이들 사례들에서 제기된 월경 이슈는 소비자본주의의 지배와 남성중심적 성차별적 성문화가 월경의 젠더정치와 연결되어 있음을 드러낸다. 또한 월경 액티비즘은 여성의 몸 경험을 남성중심적 시각에서 해석하고 평가해 온 성차별적 가부장제적 의미체계에 대한 저항이자 여성에 대한 폭력과 성차별적인 사회적 문화적 인식과 관행을 비판하는 매개로서 작동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