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부산을 찾는 관광객들이 가지고 있는 부산향토음식의 이미지가 관광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알아보고 지역별 차이점을 파악하여 마케팅 시사점을 주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분석결과 첫째, 부산향토음식 이미지가 관광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관계 분석에서 정서적 이미지(적절성), 인지적 이미지(우수성, 다양성)은 채택되었고, 정서적 이미지(가치성), 인지적 이미지(편의성)은 부분 채택되었다. 둘째, 부산향토음식 이미지가 관광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관계 분석에서 편의성(음식의 전문성, 음식의 지역성)은 기각되었다. 셋째, 부산향토음식 이미지와 관광지 이미지에 미치는 지역별 차이분석에서 음식의 질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기각이 되었다. 넷째, 관광지 이미지의 정서적 이미지 중에서 적절성과 가치성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나머지 인지적 이미지 중에서 편의성, 우수성, 다양성이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부산향토음식의 이미지는 관광지 이미지에 비하여 인식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음식과 관련된 관광보다는 자연경관이 우수한 휴양지, 피서지로서의 이미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휴양하기에 적합한 지리적 연건을 갖추었음에도 불구하고 관광객이 즐길 수 있는 해양 레저시설과 편의 시설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부산 향토음식 이미지에서 음식의 질은 기각되었는데, 이는 부산지역 향토음식은 관광지 명성에 비하여 두드러지지 못한 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부산향토음식의 이미지를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지역적 이미지를 고려하여 야채종류의 반찬보다는 바다에서 생산되는 식재료를 이용한 메뉴를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usan local food image on tourist destination image and regional differenc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emotional image (appropriateness), cognitive image (excellence, diversity) were adopted in the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Busan native food image on tourist destination image. Emotional image (value) and cognitive image (convenience) were partially adopted. Second, convenience (food specialty, location of food) was dismissed in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image of Busan native food on tourist destination image. Third, the analysis of regional differences in the image of food and tourism in Busa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ood quality and was rejected. Fourth, the emotional image of tourist destination image 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ppropriateness and the value, but the convenience, excellence and diversity of cognitive images do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image of Busan native food is lower than that of tourist destination image, so it has a higher image as a resort and vacation spot with better natural scenery than food related tourism. Despite having geographical conditions suitable area for recreation, it was found that marine leisure facilities and convenience facilities enjoyed by tourists were lacking. The quality of food in the local food image of Busan was rejected, which suggests that local food in Busan is not prominent compared to tourist destination reputation Therefore, in order to raise the image of Busan native food, it is necessary to reconstruct the menu using the local produced ingredients in the sea rather than the side dishes of vegetables in consideration of the regional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