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급변하는 노동환경에서 일자리에 대한 의미가 ‘평생직장’에서 ‘평생직업’으로 변화하고 개인의 직업관 또한 조직 중심에서 개인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호텔조직관점이 아닌 개인의 주도적이고 가치지향적인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긍정적인 조직성과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평가와 검증된 연구가 제한적임에 주목하였다. 즉 자신에게 의미 있는 가치와 목표를 추구하는 경력관리에 있어서 자기 주도적으로 관리하고, 가치지향적인 경력을 추구하는 프로티언 경력태도는 자신의 미래에 대한 주도적인 설계와 비전을 통해 주도적으로 행동할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이의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호텔직원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기간은 2018년 5월 14일부터 6월 1일까지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서울시내 5성급 10개 호텔에 각각 30부씩 총 300부를 식음료 부서에서 근무하는 종사원을 중심으로 설문을 시행하였으며 295부(98%)의 유효표본이 분석에 이용되었다. 조사 자료에 대한 분석방법은 SPSS 18/Amos 18을 이용해 단일차원성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판별타당성 검증 그리고 공분산 구조분석을 통해 제시된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실증분석결과 12개의 가설 중 프로티언경력태도가 학습목표지향성과 경력만족, 학습목표지향성이 직무열의와 직무만족 그리고 경력만족이 직무열의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관계를 보여주고 있으며, 또한 프로티언경력태도와 조직성과와의 관계에서 학습목표지향성과 경력만족이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여주고 있어 10개의 가설이 채택되었으나 프로티언경력태도가 직무열의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2개의 영향관계 가설은 기각되었다.


While traditional careers tended to be defined in terms of advancement within a limited number of organizations, contemporary careers are viewed as boundaryless. A protean career attitude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determinant of career success in the contemporary career era.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protean career attitude as it was perceived by hotel food and beverage employees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erceived learning goal orientation, career satisfaction on job engagement and job satisfac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hotel food and beverage employees at 10 five star hotels in Seoul. A total of 295 samples were finally used for the analysis. The statistical tools to be undertaken this research were frequenc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discriminant validity analysis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of SPSS(18.0) and AMOS(18.0).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perceived protean career attitude had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goal orientation and career satisfaction while the job engagement and job satisfaction did not. The results indicated that learning goal orientation had significant effect on job engagement and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career satisfaction had significant effect on job engagement and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e mediation effect analysis showed that learning goal orientation and career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between protean career attitude and organizational outcomes. Pract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 of the study are discussed with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