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지킬 박사와 하이드 씨의 기이한 사례』를 모든 인간에게 숨겨져 있는 선과 악의 대립의 관점에서 보는 전통적인 비평 접근 방식과는 달리,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보면 이 소설은 하나의 주체가 되기 위해 인간이 겪어야 하는 이중의 소외에 의해 야기된, 분열된 인간 주체를 다루고 있다. 프랑스 철학자이자 정신분석가인 라캉에 따르면 주체는 상징계에 의해 상징계 내에서 형성되기 때문에, 주체가 되어 인간 사회에 종속되기 위해서는 상징계의 요구대로 주체의 일부를 포기해야 한다. 이 상징계에 의해 금지 혹은 포기되도록 강요된 것을 라캉은 실재라고 부른다. 따라서 인간은 상징계적 주체가 되기 위해 실재를 포기하며 자신으로부터 소외 혹은 분열된 상태에 있을 수밖에 없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 더 나아가 인간 주체는 대타자이자, 상징계가 욕망하는 것을 자신의 욕망으로 인정/오인함으로써 자신의 실재계적 욕망으로 부터도 소외가 된다. 이런 의미에서 인간 주체는 이중의 소외를 겪을 수밖에 없다. 지킬 박사는 젊은 시절 그로 하여금 “비정상적인 행위”를 저지르도록 이끈 “방탕한 기질”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현명하고 선한 사람들이 받는 존경심”을 자신도 받기를 갈망한다. 따라서 이러한 “방탕한 기질”의 체현(體現)으로서의 하이드는 상징계에 의해 억압받는 실재를 대변할 뿐만 아니라 금지된 혹은 소외된 욕망을 대변하고, 지킬 박사는 지킬이 자신의 욕망으로 인정/오인 하는 상징계의 욕망을 추구하는, 상징계에 의해 부여된 사회적 정체성의 상징이다. 따라서 지킬 박사는 지킬 자신의 욕망을 금지하고, 대타자의 욕망을 지킬의 욕망처럼 위장하는 상징계의 욕망에 의해 이중의 소외를 겪게 되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지킬은 하이드의 사회적 가면이 되는 것이며, 하이드는 지킬의 소외된 욕망 혹은 그의 실재의 귀환을 대변하는 존재인 것이다.


Unlike the traditional approach to The Strange Case of Dr Jekyll and Mr Hyde which examines it in terms of “the good-evil antithesis that lurks in all men”, the novella is concerned with the split human subject caused by double alienation which the human should undergo in order to be a subject. The subject, according to Lacan, is constituted in/by the symbolic order, so that, to be a subject, we should be subjected to the symbolic order/human society which demands the subject to give up parts of ourselves. What is prohibited by the symbolic order is called the real. The human subject, thus, inevitably remains split and alienated from himself. Furthermore, the subject is alienated from his own desire, since he desires what Other/symbolic order desires, (mis)recognizing Other’s desire as his own. In this sense, the subject inevitably undergoes double alienation. Jekyll has a desire for “the respect of the wise and good” as well as “impatient gaiety of disposition” which led him to do “irregularities” in his youth. Hyde as an embodiment of “gaiety of disposition” represents prohibited/alienated desire as well as the real repressed by the symbolic order/Other’s desire, while Jekyll is a figure of the social identity given by the symbolic order whose desire Jekyll (mis)recognizes as his own. Jekyll, thus, is doubly aliened from his own desire by Other’s desire which represents Jekyll’s desire, forbidding Jekyll’s own desire. Hyde, in this sense, represents the return of the real/Jekyll’s alienated desire, whereas Jekyll is Hyde’s social mas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