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오늘날 K-POP 중심의 한류 열풍은 기존의 드라마중심에서 벗어나 유럽, 러시아, 미국 등의 지역으로그 영역이 확장되었다는 점에서 신(新)한류로 명명된다. 신(新)한류의 주역인 K-POP이 해외진출에 성공한전략에는 SNS 마케팅 통로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요인도 있겠지만 무엇보다 그들의 콘텐츠가 한국을 넘어서 전 세계인들에게 매력적으로 다가갔기 때문일것이다. 한류에 집중된 언론과 대중의 관심은 단순한문화수출의 의미가 아니라, 자국의 문화가 정신적으로 타 지역에 영향을 미치는 모습을 통해 민족적, 국가적 자긍심을 느낄 수 있게 한다는 데에 의미가 있다. 더욱이 근대 물질적인 산업 발전에 치중하던 우리사회의 문화산업 발전은 한국사회가 글로벌 시대의 중심에 존재한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20세기까지한국의 문화는 문화의 수용과 전파의 측면에서 볼때 주도적이기보다 수용적인 성격이 강하였다. 즉, 문화의 능동적 창출이나 유출보다는 수용에 더크게 무게 중심을 두었다는 의미이다. 하지만 이제K-POP은 서구의 문화를 모방하는 수준을 넘어서 개성 있고 희소가치가 있는 콘텐츠로 범위를 넓혀가고있다. 한국의 독특한 역사적 배경에서 장기간 걸쳐형성된 한국 특유의 전통문화는 그 자체만으로도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고유의 자산이며, 한류 대중문화에서도 전통 고유의 특성을 활용하여 새로운 콘텐츠로서 창출해 세계시장에 나가 자생력을 높여야 한다. 한국 대중문화에 대한 호감은 한류 콘텐츠와 그에따른 파생상품의 부가가치를 창출해내며 국가 이미지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즉, 전통예술과K-POP이 융합하여 우리만의 독특하고 예술성이 높은 문화로 갖춘다면 세계 문화예술 시장에서 앞장서게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K-POP의 성장과 발전을 더불어한국 전통예술의 가능성을 인식하고, 대중화를 위한활용에 의미를 두어 K-POP과 전통예술을 융합한 사례를 분석해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전통예술과 여러 장르와의 융합작업 및 실험작업을 활발하게 시도하여 다양한 콘텐츠를 창출하고, 대중매체 채널들을 적극 활용한다. 둘째, 전통예술을 활용한 활발한 융합작업을 위해 전통예술의 저작권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 창작무용의 저작권을완화하여 활용할 수 있는 콘텐츠 범위를 확대한다. 셋째, 전통예술의 조기 교육화를 시행하여 어려서부터 전통예술을 학습하고 발전되도록 한다. 넷째, 전통예술을 한국문화정책 전반으로 확대, 지원하여 국가의 문화가치를 높이고 경제이익을 창출하는 방안으로 삼는다. 이를 통해 전통예술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K-POP과 같은 대중예술과 융합하여 활용한다면, 전통예술의 정체성은 지키며 자국의 문화를 세계화하는 데에 효과적인 방안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oday, the Korean wave headed by K-pop is newly named as ‘New Korean Wave’ in that it has been extended to United States, Europe and Russia. K-POP, the main player of the new Korean wave, has been successful in SNS marketing channels. Furthermore, the content of K-pop has attracted the attention of the global audience. The media and public attention on the Korean Wave is meaningful because it is not merely a cultural export. It also makes Korean people feel national pride, seeing the mental influence of its culture on other regions. Moreover,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al industry in our society, which is different from industrial or material development, is a proof that Korean society is at the center of globalization. Until the 20th century, Korean culture had been rather receptive than dominant. In other words, it was focused more on acceptance of other cultures than active creation or outflow of its own. Now, however, K-POP is not anymore copying Western culture. It is creating its own unique characters, which makes K-pop very competitive. Korean culture has been formed for a long time in Korea's unique historical background. Korean popular culture also has to establish a solid foothold in world markets through its distinctive and traditional feature. The positive consumer response to Korean pop culture will create the added value of Korean contents and their derivatives, which will heighten Korea’s national image also. In other words, if traditional art and K-POP are converged and equipped with our own unique and highly artistic culture, they will take the lead in the global cultural art market. In this study, we will recognize the possibility, growth and development of K-pop culture and analyze the cases of combining K-pop and Korean traditional art. First, we have to blend traditional art and other various genres to create diverse contents, and we have to actively utilize media channels. Second, we must improve people’s awareness of the copyrights of traditional art. Also, we have to mitigate the copyrights of creative dance to expand the disclosure of contents which can be utilized. Third, we have to learn about traditional arts from younger age. Fourth, we will expand traditional arts to the whole of Korean cultural policies, which can enhance the nation’s cultural value and create economic benefits. These four are expected to be effective ways to preserve the identity of traditional art and at the same time, globalize Korean cul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