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조선후기 제주도 지역에서 작성된 상속 문서에 주목하여 혼인한 여성의 재산 소유 실태와 상속권 행사의 구체적인 내용을 밝히고, 나아가 여성의 상속권 행사가 여성 출계 집단의 영향력이 크게 작동하는 제주도 친족문화와 어떤 상관성을 가지는가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구좌 김해김씨 가문의 방대한 전승 고문서 중 각별히 초알일 별급문기를 면밀하게 분석하였다. 그동안 제주도 지역은 밭농사와 잡곡 재배가 주를 이루는 농업 환경으로 인해 여성 노동력에 대한 사회적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여성의 경제적 위상도 높을 것으로 이해되어 왔다. 그렇지만 여성의 경제적 행위나 위상과 관련하여 그 구체적 실체가 밝혀진 사례는 거의 없으며, 당연한 결과지만 여성의 경제적 위상과 제주도 친족문화의 상관성에 주목한 연구도 없었다. 그리하여 본고에서는 먼저 여성들의 경제 행위를 보여주는 5점 내외의 별급문기를 면밀히 분석하는 한편, 같은 시기에 작성된 다른 가문의 별급문기를 적극 활용하는 방법을 통해 여성들의 재산 소유 실태와 그 규모를 구체적으로 밝히고, 나아가 여성들의 상속권 행사 과정을 면밀하게 추적하였다. 논의의 중심은 여성이 혼인한 후 남편의 가족 구성원들로부터 재산을 상속받아 소유하고, 이 재산을 다시 아랫세대의 시집온 여성에게 상속하는 3대 60년에 걸친 여성들의 세대 간 상속의 특징과 의미이다. 남편의 가족 구성원들이 시집온 며느리에게 재산을 상속하는 초알일 별급은 19세기까지 광범하게 확산되었던 제주도 별급 관행의 하나이다. 본고에서 사례로 분석한 김덕경 가계의 며느리들은 초알일 별급으로 재산을 소유하고, 이 재산권을 직접적 혈연관계가 없는 며느리에게 상속하는 방식으로 행사하였다. 이 과정에서 여성들은 상속에 혼인 연망을 적극 활용하며 세대가 다른 여성들 사이의 경제적 유대를 강화하려는 모습을 보여주는데, 무속신앙의 전통이 강한 제주도에서 경제적 유대는 문화적인 측면에서도 충분히 뒷받침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처럼 상속을 통해 여성들의 유대를 강화하려한 노력은 부계적 가계 계승의 원칙이 강화되면서 수반되는 여성 집단의 위상 약화를 막으려는 여성들의 전략적 대응과 깊게 연관되어 있다. 이 연구는 이점을 강조하면서, 부계 혈연집단의 응집력만 고집하지 않는 제주도 친족문화의 특징을 여성들의 역할과 대응 속에서 찾으려 하였다. 재산 상속에서 여성의 전략적 선택을 확인하고 그에 따른 여성들의 유대에 주목한 이 연구가 혼인과 상속, 그리고 친족문화의 상관성을 규명하는데 있어 새로운 상상력을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research aims to reveal the details of a married woman(daughter-in-law)'s property ownership and inheritance rights, focusing on the inheritance documents of Jeju island in the late Joseon Dynasty, furthermore,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ercise of women's right to inheritance and Jeju Island's kinship culture, where rights of women's descent group are highly influential. For this, this research analyzed huge amount of ancient documents of Gujwa Kimhae Kim Family Kim Deokgyeong family. Until now, it has been understood that women will also have a high economic status because of the high social dependence on women's labor due to the farming environment, which mainly consists of fields and grain cultivation. However, few concrete cases have been revealed regarding women's economic behavior or status, and none of the studies have taken into account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s economic status and Jeju's kinship culture. Thus, I first analyzed the five or so separate Byulgeub Mungi(別給文記) that showed women's economic behavior, and then used the documents of other families written at the same time to clarify the status of women's property ownership and its size, and closely tracked the process of women's right to inheritance. The focus is plac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intergenerational inheritance of women over three to sixty years who inherit property from their husband's family members after a woman marries, and then inherit it back to the lower generation of married women. ‘Choalil Byulgeub', with the married women as the receivers, is one of Jeju's inheritance custom that spread widely until the 19th century. The daughters-in-law of Kim Deog-gyeong's household owned property as Choalil Byulgeub and exercised the property rights by inheriting it to their daughter-in-law, who had no direct blood relationship. In the process, women actively utilize marriage ties and show that generations are trying to strengthen economic ties between different women, which is believed to have been well supported by cultural aspects in Jeju Island, where the tradition of shamanism is strong. The efforts to strengthen women's ties through inheritance are deeply related to the strategic response of women to prevent the weakening of the female group's status as the principle of paternal succession has been strengthened. Emphasizing its advantages, the study sought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Jeju's kinship culture in women's roles and responses, which do not insist on the cohesion of the paternal blood group. It is hoped that the study, which identified the strategic choices of women in property loss and paid attention to women's bond accordingly, will provide new imagination in discovering the correlation between marriage and inheritance and kinship cul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