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기업수준의 미시데이터를 사용하여 2012년 「화장품법」 개정의 고용효과를 추정한다. 특히 법 개정 사항별로 화장품 제조업자와 비제조업자에 차별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규제변화의 효과를 추정하였다. 규제변화 전후 고용을 비교한 결과, 2012년의 규제변화는 다른 조건이 동일하다고 할 때 제조업자의 고용을 비제조업자 대비 35% 이상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제조업체의 물류 및 판매와 관련된 인력이 유의하게 증가했으며, 상용직의 증가 및 임시직의 감소와 같은 고용의 질 제고에도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결과는 적절한 규제변화가 고용증가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the amendment of the Cosmetics Law in 2012 on employment using the microdata at the enterprise level. Because the policy change may differently affect cosmetic producers and non-cosmetic producers, we analyze the impact by comparing the changes in the number of employees of cosmetic producers to those of non-cosmetic producers following the regulatory changes. We find that the 2012 amendment increased the number of employees of cosmetic producers by approximately 35 percent, holding all other conditions constant. In addition, the revision led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workers in charge of logistics and sales. It also increased the number of regular workers but decreased the number of temporary workers. The results of this paper suggest that reasonable regulatory changes can be one of the policy tools to increase employ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