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의 목적은 녹문 임성주의 수양론을 <맹자부동심장설>을 중심으로 고찰하여 그 구조와 성격을 드러내는 데 있다. 녹문은 조선의 6대 성리학자로서 이기동실(理氣同實)과 심성일치(心性一致)를 학문의 종지로 삼았다. 그는 악의 근원을 타고난 기질의 차이에 두지 않고, 후천적으로 발생하는 사재(渣滓)로 지목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먼저 녹문의 이기심성론을 사재설과 관련지어 살펴본다. 녹문은 이동기이(理同氣異)의 틀에서 벗어나 이기동실의 관점에서 본체로서 기의 순일성을 제시한다. 그리고 담일한 ‘기의 찌꺼기[渣滓]’가 심과 성에 영향을 줄 수 있지만 수양을 통해 자연스럽게 제거되는 일시적인 현상임을 보여준다. 다음으로 녹문 수양론의 구조와 성격을 드러내기 위하여 그의 <맹자부동심장설>을 분석한다. ‘북궁유에서부터 고자에 이르기까지 부동심의 방법’, ‘뜻을 지킴과 기를 포악하게 하지 않음’, ‘뜻과 기의 관계’, ‘그 기됨에 있어 의와 도가 짝한다’, ‘의를 축적함’, ‘반드시 호연지기를 기름에 종사하되 효과를 미리 기대하지 말라’, ‘마음에 잊지도 말고 조장하지 말라’, ‘지언과 양기의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녹문의 <맹자부동심장설>의 분석 내용을 중심으로 녹문 수양론의 구조와 성격을 조명한다. 이 논문은 녹문의 수양론을 내외(內外)⋅동정(動靜)⋅체용(體用)이 종횡으로 관통하는 구조로 파악하고, 그 핵심에 ‘경(敬)’과 ‘지지(持志)’가 있음을 주장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ress its structure and character of the Nokmoon Lim Seungju's self-cultivation theory by focusing on ‘explanation of the Mèngzĭbúdòngxīn(孟子不動心)’. Nokmoon, the top six Neo-Confucianist of Joseon Dynasty, made ‘liqidongshil(理氣同實)’ and 'simseongilchi(心性一致)' the core of his studies. He points to the origins of evil as a acquired Sajae(渣滓), not as a difference of natural temperament. In this paper, we first look at the theory of self-interest in greenback. First, this study looks at Nokmoon's theory of ‘liqisimseong(理氣心性)’ in relation to theory of ‘Sajae(渣滓)’. Nokmoon gets out of the 'lidongqiyi(理同氣異)' frame and presents purity of qi(氣) as the main body in terms of ‘liqidongshil(理氣同實)’. And the Sajae(渣滓), which is the residue of pure qi(氣), can affect mind(心) and nature(性) but it is a temporary phenomenon that is removed naturally through the self-cultivation. Next, this study analyzes his ‘explanation of the Mèngzĭbúdòngxīn(孟子不動心)’ to reveal the structure and character of the Nokmoon's self-cultivation theory. This paper focuses on the contents of ‘búdòngxīn methods from BeigongYou(北宮黝) to Gaozi(告子)’, ‘Keep the will(持志) and don't make the qi vicious(無暴其氣)’, ‘the relationship between meaning and qi’, ‘Righteousness and the Way are a match for being qi(配義與道)', 'the accumulation of righteousness(集義)', 'Be sure to work on cultivating Haoranzhiqi(浩然之氣) but do not anticipate the effects(必有事焉,而勿正)', 'Don't forget your heart and do not encourage it(心勿忘,勿助長)', 'the relation of Zhiyan(知言) and Yangqi(養氣)'. Finally, this study highlights structure and character of Nokmoon's self-cultivation theory based on analysis of a Nokmoon's ‘explanation of the Mèngzĭbúdòngxīn(孟子不動心)’. This paper considers Nokmoon's self-cultivation theory as a structure through which Nei-wai(内外), Dong-Jing(動靜), and t'i-yung(體用) penetrate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nd claims that there are kyoung(敬) and chizhi(持志) at the c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