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980년대 이후 중국의 만주지역에 대한 연구가 본격화되면서 만주지역을 둘러싼 역사분쟁이 격화되었다. 특히 2002년 중국 동북공정의 시작은 역사서술의 단위 내지 역사체계에 대한 고민의 심화로 이어졌다. 동북공정이 본격화되면서 통일적다민족국가론에 의해 발해 족속과 발해 문화는 핵심 논지가 되었다. 2007년 이후 동북공정은 중국 동북지역의 지방경제와 문화발전을 연결하려는 관점에서 연구가 계속되었다. 발해유적과 유물에 대한 발굴성과 및 유적지 현장에 대한 정비는 국가정책에 지속적으로 반영되어 십삼오(十三五) 문화발전정책에 구체적으로 정리되었다. 동북 3성 지역 박물관의 전시내용과 유적 정비를 통해 동북공정과는 다른 또 다른 형태의 역사공정이 진행되고 있다.


The study on Balhae history was conducted from a variety of perspectives breaking from the perspective focused on Mohe people and Tang Dynasty because of the rapid development of archeology in 1990s. As the academic research and archeological investigation in the Manchuria region were animated after 1980s, disputes on history of the Manchuria region were intensified between Chaina and surrounding nations. In 2002 the beginning of China’s Northeast Project especially caused disputes on the historical description and the system of history, and the Balhae history became the main subject of research. It means that the study of Balhae history includes many problems to be sol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