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취학 전 유아의 전자매체를 이용한 교육시간과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주의집중문제 및 학업수행 능력 간 구조적 관계가 어떠한지 알아보고, 그러한 관계에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아동패널 7차년도, 8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를 살펴보고,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남아의 경우 전자매체를 이용한 교육시간이 주의집중문제와 학업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반면, 여아의 경우 전자매체를 이용한 교육시간이 증가할수록 주의집중문제 수준이 낮아지고, 학업수행 능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성별 모두 주의집중문제가 학업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했다. 기저모형과 경로계수에 동일성 제약을 가한 모형들 간 차이를 비교해본 결과, 전자매체를 이용한 교육시간이 학업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제약한 모형과 주의집중문제가 학업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제약한 모형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교육목적 전자매체 이용이 아동 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그 영향력이 성별에 따라 다를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 children’s educational electronic media usage time and first-grade children’s attention deficiency and academic ability. Moreover, the study explores differences in respect to such relationship based on gender. For this, structural equation model fit was investigated with data drawn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Survey between 2017 and 2018 and carried out a multi-group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boys’ educational electronic media usage time had no significant impact on their attention deficiency and academic ability. Girls, however, showed lower attention deficiency and higher academic ability as they spent longer time using educational electronic media. The influence of attention deficiency on academic abil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both genders.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differences among baseline models with equality constraints, the difference between model with a constrained effect of educational electronic media usage time on academic ability and model with a constrained effect of attention deficiency on academic abil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verall findings suggest that educational electronic media usage can positively contribute to children’s development and that such effects can vary depending on gen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