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초기 하이데거의 철학에 나타난 ‘현사실적 삶’의 종교적이고 신학적 의미를 모색하는 논문이다. 역사주의자들과의 논쟁에서 하이데거는 현사실적 삶을 발견하고 존재의 길로 나아간다. 그 현상학적 방법이 ‘형식적 고지’이다. ‘형식적 고지’를 통해 하이데거는 인간 현존재가 처한 불안을 드러내고 현존재의 해석학적 관계망으로서 세계내존재를 밝힌다. 이 과정은 곧 일상성에 사로잡힌 인간의 운명을 고발하고 해방의 길을 모색하는 길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일상성을 넘어 근원적 존재로 나아가는 길에서 현사실적인 삶이 지닌 종교적이고 신학적 의미를 밝히게 된다. 첫째, 본 논문은 역사주의자들과의 논쟁에서 발견한 해석학적 방법으로서 ‘형식적 고지’에 대해서 살핀다. 둘째, 본 글은 하이데거가 현사실적 삶에서 해명된 현존재의 ‘불안’과 그의 종교적 의미로서 인간의 ‘실존’과 ‘세계내존재’를 해명한다. 셋째, 필자는 현사실적 삶에서 드러난 존재사유의 종교적이고 신학적 의미로서 ‘근원적 존재’에 주목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이데거와 동시대에 살았던 신학자들, 루돌프 불트만과 파울 틸리히, 본회퍼와의 존재론적 만남의 의미를 살핀다. 넷째, 철학과 신학의 만남의 장소로서 ‘종교’의 길을 밝히고 기독교 신학과 철학의 공동의 길로서 종교 간 만남의 의미를 모색해보려고 한다. 다섯째, 본 논문은 하이데거의 존재사유가 자아중심의 철학의 한계를 넘어 사회적 종교성의 문제로 확대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한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explain the religious and theological meaning of the “present factical life” which occurred in the thinking of the early Heidegger. In confrontation with his contemporary historians, Heidegger finds the present and factical life and goes on the path of being. The current method of realistic interpretation is the “formal indication.” Through the formal indication, he realizes the fear of human existence. He explains the meaning of ‘existence’ and ‘Being- in- the-world’ as his hermeneutical network. This process is a way to uncover the destiny of humanity in life and to seek the way of liberation. In this article, therefore, the “home” is referred to as the religious and theological meaning of the current factual life in the course of life. First, “formal Indication” as hermeneutical methods is explored in debates with historians. Second, Heidegger explains the existence of human existence as a fear of existence and its religious significance that can be portrayed in contemporary life. Third, the “home” is examined as the religious and theological meaning of the existential thought, which is understood in the factical life of the present. Fourthly, it is to clarify the theological and religious relation between Heidegger and Rudolf Bultmann, Paul Tillich and Dietrich Bonhoeffer, who lived in the same period, to reveal the significance of contemporary life as a meeting point of philosophy and theology. Finally, this study seeks to explain the meaning of religious science as a common way of philosophy and the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