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의 목적은 지금까지 국어교육사(史) 연구에서 거의 다뤄지지 않았던 산업 화 초기 ‘통신학교 국어교육’의 실체를 규명하고, 그 특징을 독학자의 교육적 열망과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고찰하는 데 있다. 1960년대는 이농과 도시화가 시작되는 산업화 초기로, 전후의 사회적 혼란과 경제적 양극화가 심화되는 시기였다. 열악한 노동과 빈궁한 일상 속에서도 미래의 희망을 꿈꿀 수 있는 삶의 방편이 있었으니 그 것이 바로 ‘독학(獨學)’이다. 많은 이들이 교육을 통해 계층 이동을 시도했다. 산업화 초기 독학도는 통신교육을 통해 진학이나 취업에 필요한 사회적 문식성을 획득해 나 갔다. 이를 잘 보여주는 자료가 ‘강의록’이다. 이 연구에서는 대구지역 종합중고등통 신학교의 강의록인 종합강의록 학습교재에 주목하였다. 종합강의록 학습교재라는 교육자료의 발굴은 세 가지 측면에서 의의를 지닌다. 첫째, 지역에서 발간되고 운 영된 통신학교 국어교육의 실체를 확인할 수 있다는 것. 둘째, 서울에서 발간된 강의 록과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는 것. 셋째, 2차 국어과 교육과정이 제시하는 목표, 내 용의 반영 양상과 실행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종합중고등통신학교 강의록인 종합강의록 학습교재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산업화 초기 통신학교 국어교육의 특징과 한계를 고찰하였다. 산업화 초기, 통신학교 국어교 육의 특징은 크게 두 가지로 일별할 수 있다. 첫째, 통신학교 국어교육의 핵심은 국 가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교수⋅학습 지식을 충실히 학습하고 이수하는 데 있 다는 것이다. 당시 통신학교 국어교육은 제각기 사정으로 상급학교에 진학하지 못한 이들이 사회적 문식성을 함양할 수 있는 ‘준-제도’적 방안이 되었다. 둘째, 독학자의 문식성 교육에서 언어사용기능에 대한 학습 자체를 배제하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통신학교 국어교육에서는 언어사용기능에 대한 학습이 단편적으로만 제시될 뿐 실질 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al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of correspondence school' in the early industrialization period. That was hardly mentioned In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o examine its characteristics in educational expectations of autodidacts and socio-cultural context. In the early and mid 1960s, it was the beginning of industrialization in which agricultural and urbanization started. Post-war social turmoil and economic polarization have intensified. 'study' is the one thing that gives hope to the future in poor working conditions and poor lives. Many people have attempted to move the hierarchy through education. Autodidacts of the early industrialization have acquired social literacy which are necessary for further study and employment through correspondence school. A transcript of lectures shows this well. This paper focuses on Comprehensive lecture book which is a transcript of lectures of correspondence school in Daegu area. There are three reasons for this. First, this transcript of lecture is the real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ublished in the region. Second, it differs from a transcript of lecture published in Seoul. Third, it can confirm the reflecting aspect of the educational goals and contents of the second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this reason, this paper examines the process of acquiring social literacy by the self-taught students through the comprehensive lecture textbook. And this paper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school In the early stage of industrialization. At the beginning of industrialization, there are two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orrespondence school. First,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correspondence school allows students to learn the contents of national curriculum. Second,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correspondence school does not exclude the literacy education which enhances the language use function of the self - educated person. In this way,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the correspondence school in the early industrialization, was a way of cultivating social literacy for those who could not enter advanced schools due to various reas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