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문장의 결합관계에서 나타나는 선택 제약이 어휘 교육에 효과 적임을 밝히고 한국어 학습자에게 어휘 교육에 있어서 어휘를 제시하는 순서를 어떻 게 정하는 것이 좋은지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서술어와 결합하는 피선 택항을 파악하기 위하여 한국어 학습자의 실제 자료를 분석 방법으로 삼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를 통하여 서술어를 기준으로 어떠한 어휘와의 의미적 연결이 빈도가 높은지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 값을 통해 의미에 맞 게 그 빈도수를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연구 대상의 서술어 중 기본의미로 사용이 되 는 비율이 높지 않았다. 또한 문장 내에서 서술어와의 의미 호응하는 명사들도 다양 하게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 밖에도 문장, 어휘를 교육할 때 보편적인 선택 제약이 나타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다. 이러한 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문법적으로 문장을 학습할 때 이루어지는 필수성분 위주의 교육 한계를 극복할 수 있고 문화 교육적인 측면에서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향후 한국어 학습자들의 문장, 어휘 교육에서 기대되는 자 연스러운 의사소통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This study aims to find out how the selection restriction in the combination of sentences is effective for vocabulary education and to provide a criterion for how to set the order of presenting vocabulary in vocabulary education to Korean learners. The actual data from Korean learners were analyzed in order to identify nouns combined with predicates. To achieve this, through the Korean learners' corpus, we identified which vocabulary shows higher frequency in semantic connection, setting predict as a standard. Through this result measure, we presented the frequency according to the meaning. Not many predicts in this study were used interpreted as its original/basic meaning. And, there were not many nouns that concord the predicates and semantically in sentences. In addition, universal selection restrictions may or may not appear when teaching sentences and vocabulary. Based on these analysis data,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educational limit of essential component which is done when learning sentence by grammatical method. Also, it can also be useful in terms of cultural education. In the future, it will be helpful for natural communication expected in the sentence and vocabulary education of Korean learn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