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한국전쟁기 남한 사회에서 국가 형성의 근본 가치로 작용한 반공주의는 체제 반 대세력과 이념을 철저하게 배제시키면서 국민 통합을 수행하는 정치적 역할을 수행 하였다. 이른바 국가가 전쟁을 만들고, 전쟁이 국가를 만들었던 시기였다. 이 시기 부 산은 변방의 한 항구도시를 넘어 피란수도이자 냉전의 중심 지역이었다. 피란지 부 산에서 문인들은 비국민과 국민의 불안한 경계에서 ‘국민’의 범주에 편입되기 위해 공산주의에 대한 적개심을 전면화하고 자유민주주의 사상의 우월성을 강변해야 했 다. 그런 만큼 문단의 총후 활동은 전쟁 승리에 기여하는 ‘국민’ 형성과 전시동원이라 는 논리를 생산하는 데 주력하였다. 당시 문학인들이 국가주의와 애국주의, 반공이데 올로기를 강조한 것은 생존의지의 표현이자 이념적 순수성을 입증하는 방식으로 볼 수 있다.


During the Korean War, Busan, a maritime port city, was not only the provisional capital of South Korea but also the center of the Cold War and. Anti-communism, which served as the fundamental value of state formation in South Korean, played a key role of politics, excluding the opposition forces and ideologies and carrying out the national integration. It was time, so to speak, when state made war; war made state. Writers, living or staying in Busan and being on the unstable position between nationals and non-nationals, had to display hostility to communism and to supremacy of the idea of liberal democracy in order to be included in the category of “the people”. In such context, all the war-backup activities of literary societies in the area were devoted to producing the logic of “nation-building” and wartime mobilization contributing to the victory of the war. Thus, Their emphasis on anti-communist ideology, nationalism and patriotism seemed to be a sort of expression of their own will to survive and a way of proving their ideological naive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