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명이 재덕(在德)인 정청산(鄭靑山)(1906~?)은 경기도 수원 지역 어린이문학인 가운데 한 사람이다. 그는 동향 안준식이 냈던 별나라를 빌려 문학 활동을 시작했 고 카프 맹원으로, 별나라사 직원으로 일하며 소년 항쟁을 벌이다 두 차례 옥고를 겪 었다. 1946년 6월 월북 뒤에는 아동도서출판사 주필을 비롯한 여러 요직을 거쳤다. 이 글은 그를 다룬 첫 담론으로서, 재북 시기 대표 중편 소년소설 희망의 길(1958) 을 소개하고자 했다. 70000부나 찍었던 희망의 길의 이야기한 시간은 경술국치 무렵부터 1933년까지 짧지 않은 기간에 걸쳤다. 그사이 솔골과 두리 마을에서 이루 어진, 유산계급 지주와 제국주의 왜로의 수탈 속에서 무산계급이자 피식민자인 우리 농민이 겪는 고난을 7장으로 갈라 담았다. 그러면서 줄거리는 농촌의 피폐에 초점을 둔, 1장에서 3장까지 걸친 전반부와, 밤배움을 세우고 그것을 학원으로 키워 가면서 계급적 정체성을 깨닫고 쟁투를 확대해 나가는, 4장에서 7장에 이르는 후반부, 둘로 나뉜다. 이런 가운데 이념 지평으로서 사회주의 모국 소련과 김일성의 ‘혁명’ 전통을 향한 ‘희망’을 거듭했다. 그 무렵 북한 소년소설로 볼 때 새롭거나 뛰어난 성과는 아 니다. 중편이 가질 법한 다양한 사람 관계나 풍부한 사건을 반영하지도 않았다. 그럼에도 희망의 길이 되새기는 역사적 과거는 유별나다. 정청산이 어렵사리 소년 항 쟁을 펼치다 왜로에 붙잡혀 고초를 겪었던 자전적 경험과 맞물려 있는 까닭이다. 작 품이 다룬 그러한 고투의 시간이야말로 그가 북한 문학사회에 내세울 수 있는 으뜸 정당성이었 것이다. 이 글로 말미암아 정청산에 대한 관심뿐 아니라, 그를 둘러싸 고 이루어졌던 계급주의 어린이문학에 관한 다채로운 논의가 이어지길 바란다.


Cheong-San(1906~?), Whose real name is Ja-Deok, is one of the literary writers in Suwon region. He began literary activities with the help of the Byeolnara, founded by Ahn Jun-Sik, who has the same hometown. As a member of the KAPF, and as a worker in the Byeolnara company, a boys’ uprising, he went through two prison life. In June 1946, he went to North Korea, and got various positions, including the chief editor of children’s book publishing. This article was the first discourse on him, and wanted to introduce the novel, The way of hope(1958), a representative novel in the period of North Korea. The telling time of The way of hope, which had been printed for 70,000 copies, lasted not a short period from the time of the tactical nationality period to the end of 1933. In this work, he divided into 7 chapters on the suffering of peasants, who are the proletariat and the nomadic peasant, in the possession of the legacy class and the imperialist suicide in Solgol and near villages. This plot, however, It is divided into two parts. The first half, covering from chapter 1 to chapter 3, focuses on rural deprivation, Second half, from the chapter 4 to the chapter 7, which establishes the field of night school, realizes its class identity while cultivating it as a private institute, and runs confrontations through disputes. Among these, ‘hope’ for the ‘revolutionary’ traditions of Soviet and Kim Il-Sung, the mother countries of socialism, was presented as ideological horizons. At that time, it is not a new or excellent achievement in North Korean boyhood novels. Nor did it reflect the diverse personality or abundance of events that the mediator had. Nevertheless, the historical past reminiscent of the hope is unusual because it is associated with the autobiographical experience that Jeong Cheong-San has been suffering from being caught up in the struggle for boys' hardship. Such struggling time that the work deals with is the reason why he was the first legitimate authority in the North Korean literature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