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일제강점기 유재형은 90여 편의 작품을 남겼다. 그중 아동문학 작품은 동요 43편, 소년소설 4편, 비평 4편, 수필 1편이 확인된다. 작품 수가 적지 않음에도 지금까지 연구자들의 관심이 닿지 않았고, 작가연보나 작품연보조차 작성된 바 없다. 이 글의 목적은 일제강점기 유재형의 아동문학을 살펴보는 것이다. 먼저 유재형의 활동과 아동문학에 대해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비평과 동요 그리고 소년소설을 자세히 분석해 보았다. 유재형의 비평을 통해 확인한 그의 문학관은 현실인식을 기본으로 하되 동심을 벗어나지 않는 것이었다. 이런 생각은 그의 작품에 그대로 반영되었다. 동요 작품은 동심에 치우쳤으나 생활 현실을 노래한 것, 가난한 현실을 인식하고 포착한 것, 그리고 강화된 현실인식을 바탕으로 계급대립으로 나아간 것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소년회, 공장 등의 표현이 잦고, 감옥이란 표현까지 노출되는 예가 있다. 소년소설의 현실인식은 더 직접적이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행동으로 실천하는 인물을 창조했다. 문제적 인물의 매개적 역할을 통해 주인물의 각성과 행동적 실천이 이루어졌다. 이 과정에서 야학과 교사는 주요 모티프로 기능하였다. 동요와 소년소설을 통해 소년회, 감옥, 집 떠난 오빠 등을 노출시킨 것은 일제강점기 검열 상황에서 중첩되는 계급모순과 민족모순에 대한 저항과 식민지 지배 공권력의 탄압을 드러내 보인 것이다. 일제강점기 유재형의 아동문학은 그의 비평에서 밝혔던 것과 같이 정치적 가치와 예술적 가치 곧 현실인식과 동심을 결합하려 한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Yoo Jae-hyeong left more than 90 work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Among them, 43 children’s songs, four children’s novels, four criticisms, and one essay are verified to be children’s literature. Even though the number of works is not small, chronological list of the author nor works had been written, confirming researchers’ lack of interes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look into Yoo Jae-hyeong’s works of children’s literatur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First, it investigates Yoo Jae-hyeong’s activities and children’s literature in general and analyzed his criticisms, children’s songs, and children’s novel with detail. According to his works of criticism, his literary opinion was based on awareness of reality but not out of childhood innocence. His works reflect this opinion directly. The pieces of children’s song vary from a song which is inclined to the sentiment of childhood innocence but also sings reality of life or the one that recognizes and captures the poverty, and song which advances towards class struggle with reinforced recognition on reality. There are examples of songs that frequently use words such as boys’ associations and factories, and even prisons. The perception of reality in the children’s novel created more direct characters who act out to solve problems. The night school and teacher functioned as a major motif. The mediating role of problematic character led to the awakening and action of the main character. By exposing boys’ associations, prisons, brothers leaving home in his works, Yoo Jae-hyeong revealed the resistance to class and national contradiction and oppression and of the hegemonic colonial rule, which was overlapped by the censorship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As Yoo Jae-hyeong had argued in his criticisms, his children’s literature work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can be summarized as the combination of the political value and the artistic value, in other words, of the perception of reality and the ideology of childhood innoc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