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세계 각국은 PISA에서 산출된 자료를 통해 자국의 교육 수준을 국제적인 수준에서 비교하고 교육 정책의 근거로 삼는다. 본 연구에서는 PISA의 핵심영역 중 하나인 읽기 영역에서 한국의 성취특성과 교육맥락변인의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하여 한국, 싱가포르, 일본, 캐나다, 에스토니아, 핀란드의 6개국을 대상으로 국제 비교를 수행하였다. 최근 한국의 읽기 영역 순위는 다소 하락하였으나, 여전히 상위 수준이다. 그러나 성취수준 상집단과 하집단 간 차이, 남녀 학생의 성취 수준 차이가 커지는 추세라는 점은 문제적이다. 읽기 영역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맥락변인을 살펴본 결과, 학생 수준 변인 중 ‘성별, ESCS, 지각’이, 학교수준 변인 중 ‘학교평균 ESCS’ 읽기 영역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이들 변인에 대한 탐색이 후속될 필요가 있었다. 한편, 평가틀 하위 요소별 정답률을 검토했을 때, 한국은 ‘텍스트 체재’나 ‘양상’에 비하여 ‘상황’ 차원의 정답률이 낮은 편으로 나타나 향후 개인적, 공적, 교육적, 직업적 상황과 관련된 읽기 교육의 현황을 점검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의무교육을 마친 시기의 학생들이 점차적으로 집단별 격차를 크게 보이고 있다는 점은 학교교육의 과정과 결과에 대한 점검을 요청한다. 앞으로 국어교육 영역에서 학생의 성취수준별 집단, 성별 집단의 학습 특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Each of PISA participating countries uses the results of PISA study to compare its educational outcome and system to the other countries’ and to make their educational polici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Korean students’ achievement characteristics and the effects of educational variables on PISA 2015 reading literacy by comparing Korea with other five countries of Singapore, Japan, Canada, Estonia, and Finland. The ranking of Korean students’ reading literacy performance had declined somewhat, but it was still at a high level. However, one issue is that the achievement gap between different student groups such a as low achievers and top performers and male and female students had increased. The results of the multi-level analyses found that there were some educational contextual variables which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ffected reading literacy such as the gender, ESCS, and lateness at a student level and the school mean ESCS at a school level. On the other hand, when examining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on each sub-element in assessment framework, Korean students showed low performance on ‘situation’ dimension compared to ‘text format’ and ‘aspect’ dimensions. Thus, it is necessary to inspect the current status of reading literacy education which are related to personal, public, educational, and occupational situations. The fact that the education gap between different students’ groups had increased among students who finished compulsory education would require investigation of process and outcome of school education system. In the future study, it is necessary to explor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students’ groups such as academic achievement levels and gende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