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독서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필자, 독자, 텍스트, 사회문화적 맥락 요인 등이 탐색되어야 한다. 이 연구는 텍스트 요인에 관심을 갖고 텍스트의 수준을 설정하는 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텍스트의 수준을 설정하려는 시도는 독서교육의 자료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객관적인 근거를 제공해 주고자 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이를 위한 텍스트 수준 설정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져 왔다. 양적으로 텍스트 지수를 개발하거나 그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되기도 하였고, 질적인 요인을 함께 고려하는 방식이 탐색되기도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지금까지의 텍스트 수준 설정에 관한 논의가 관련 요인을 동시에 고려하고자 하는 접근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 그 대안으로 단계적인 접근을 제안한다. 우선, 이독성이나 통사적 복잡도를 중심으로 텍스트 수준에 대한 정량적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이다. 두 번째는 정량적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준거 텍스트’를 개발하는 단계이고, 마지막으로는 전문가의 감식안을 통한 정성적인 텍스트 수준 판단 단계이다. 이런 접근은 교과서에 담을 텍스트 수준을 효율적으로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다양한 텍스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ading activity, the author, the reader, the text, and the socio-cultural context factors should be explo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to set the degree of text level with interest in textual factors. Attempts to set the degree of text level are related to providing an objective basis for developing reading education material. The text level setting for this has been done in various ways. Quantitative text indexes have been developed and there has been a search for ways to consider both qualitative factors together. This study poses the question about the simultaneous consideration of related factors in setting the degree of text level. This study propose a phased approach as an alternative. First, quantitative data on the level of text is calculated based on readability and syntactic complexity. The second step is to develop 'reference text' based on quantitative data. Finally, it is a qualitative text level judgment step through expert's perspective. This approach may be helpful in efficiently judging the degree of text level in a textbook, and it may be meaningful to be able to provide a variety of textual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