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An ongoing debate in the second language acquisition literature is whether written corrective feedback improves second language learners’ ability to write accurately. This debate has been primarily fueled by two opposing views on the value of correction in writing, namely Truscott (1996, 1999, 2007) and Ferris (1999, 2004). To date, the empirical findings on the effectiveness of written corrective feedback have been mixed; conclusive answers are not yet available.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written corrective feedback, this paper performs a critical synthesis of feedback studies in terms of their research design, measurement, and data analysis. The paper argues that the conflicting results of these studies can be attributed to methodological inconsistencies in how corrective feedback is administered in second language writing studies.


제2 외국어 습득에 관한 기존문헌에서 한 가지 논란이 되고 있는 것은 작문에 대한 수정적 피드백이 학습자의 작문 정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것인지에 대한 것이다. 이는 트러스콧(1996, 1999, 2007)과 페리스(1999, 2004)가 제시한 두 가지 상반되는 견해에 의해 촉발되었다. 최근까지의 수정적 피드백 효과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아직 어느 한 편의손을 들어주기에는 부족하다. 본 연구는 방법론적 관점에서 특히 연구 디자인, 측정, 데이터 분석방법 등에 촛점을 맞추어 수정적 피드백에 대한기존 연구를 비판적으로 분석해 본다. 그 결과 기존연구들에서 발견되는방법론적 비일관성으로 인해 상반된 실증분석 결과가 도출되고 있음을 발견하였으며, 이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