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러시아 과학기술의 현황과 전망을 살펴보기 위해 구체적으로 러시아 과학기술 위기의 요인은 무엇인지와 발전 가능성이 존재하는지에 대한 해답을 탐색해 본다. 이를 위해 기술적이거나 시계열적인 선행연구와는 달리, 보다 세분화되고 정교한 분석과 이를 근거로 한 과학기술 제도의 작동기제를 예측하고자 역사적 제도주의 접근을 활용한다. 또한 분석의 틀로는 시기와 수준별로 과학기술 관련 제도를 구분하고 각수준에 해당하는 변수 간에 상호작용을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거시적 및 중범위 수준의 변수가 연구 성과 제고를 위한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시적 수준의 변수는 상위 수준의 변수와 양(+)의 방향으로 작용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러시아 과학기술의 위기 요인을 도출하였고, 향후 과학기술자의 처우, 사회적 인식 및 연구원 수와 같은 미시적 변수의 개선이 발전 가능성으로 제시되었다. 본 연구는 소련 체제 붕괴 이후 현재까지의 시기에 대해 계층별로 세분화된 변수를 설정하고 변수 간의 상호작용을 살펴봄으로써 분석의 정교성을 시도하였다는 점에 기존 선행 연구와의 차별성을 보여주었으며, 향후 과제로 미시적 수준에 행태적이고 인식론적 변수를 제시함으로써 보다 심층적인 분석의 가능성을 마련하였다.


In order to identify the status quo and prospect of Russian Science and Technology, this paper tries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such as the main factor of risk and potentiality of development, situated in Russian Science and Technology. In doing so, this paper applies historical institutionalism which contributes to get more articulated and sophisticated analysis. With a framework of separated level and period, the way of interacting among different S&T institutions and variables is examined. To articulate variables, this paper classifies each time with three layers. The result shows that the variables at micro level do not work well with another while the variables both at macro and meso level are working well each other. It implies that the variables such as the labor conditions for scientists, societal recognition and number of researchers are needed to be improved. Along with the feature that this paper analyzes interaction among variables at different layers, it can show its result in a sophisticated way. In addition, this paper suggests that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be done with behavioral and epistemological variab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