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상사의 코칭행위가 구성원들의 직무열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특히, 상사의코칭행위와 구성원들의 직무열의 간의 관계를 자기 효능감과 직무 의미성이 매개할 것이라고 예측하였다. 즉, 상사의 코칭행위가 향상될수록 구성원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과 직무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며, 이를 통해서 직무열의도높아질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또한, 상사의 코칭행위와 자기 효능감 및 직무 의미성 간의 관계들은 상사와의 신뢰관계에의해 조절될 것이라고 예측하였다. 분석결과, 코칭행위와 직무열의 간에는 정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코칭행위와 직무열의 간의 관계는 자기 효능감과 직무 의미성에 의해서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사의 코칭행위와 자기 효능감 그리고 직무 의미성의 관계는 신뢰에 의해서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상사와 신뢰관계가 낮은 집단 보다는 높은 집단에서 코칭행위와 자기 효능감 그리고 직무의미성 간의 관계가 더 강한 것으로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상사의 코칭행위가 긍정적인 효과를 불러올 수 있으며, 상사와 신뢰관계가 확보될 경우에 일부 긍정적인 효과는 더 향상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leaders’ coaching behaviors on employees’ job engagement. Specifically, we explore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job meaningfulness on the relationship of coaching behaviors and job engagement. We expected the higher level of employees’ perception on their capability and importance of their work as leaders executed coaching behaviors which enabled the employees to engage in their job. Moreover, we expected the moderating effect of trust in leaders on the relationships of coaching behaviors and self-efficacy and job meaningfulness. As predicted, the results showed that coaching behaviors was positively related to job engagement. Most importantly, self-efficacy and job meaningfulness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of coaching behaviors and job engagement. Also, trust in leaders had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s of coaching behaviors and self-efficacy and job meaningfulness. Consequently, leaders’ coaching behaviors can have positive impacts on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outcomes and employees’ higher perception of trust in leaders can amplify the effect of coaching behaviors significantly. We discuss a number of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regarding the findings in detai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