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e flow of unskilled workers from developing to developed countries is a critical trend regarding seeking high wag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igrant workers’ competencies possessed from living and working in both origin and host countries in order to apply in the real-world setting for successful career after terminating the labor contract. The narrative inquiry was used to identify seven overarching themes emerged from data using an inductive approach, consisting of gratitude and devotion, getting along with people, hardworking and endurance, a sense of further studies, running own businesses, conflicting technical skills acquisition, and family living condition betterment. The findings concluded that public campaigns should be promoted to raise both employers and migrant workers’ awareness of South Korean labor-related law along with the strict labor law enforcement and attentions to migrant workers’ rights for migrant workers to acquire fruitful technical skills.


대한민국은 제조업, 농축산업, 어업, 건설업, 서비스업 업종에 한하여 중소기업의 인력부족을 해결하기 위하여 2004년부터 고용허가제를 시행하여 28만 명(‘18.12월 기준)의 이주노동자(E-9 비자)가 대한민국 산업현장에서 생산 활동에 종사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한민국에 입국한 이주노동자가 체류하는 동안 습득되어지는 역량을 고찰함으로써 이주노동자의 성공적인 요인을 찾아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이주노동자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과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통하여 습득되어지는 7가지 역량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Richard Boyatzis(1981)의 21개의 역량 중에서 대한민국에 입국 전후 개인 효과성 역량은 ‘감사와 헌신’, ‘성실성과 인내심’이다. 인간관계 역량은 ‘사람들과의 좋은 관계 유지’이며 성취 역량은 ‘기술의 습득’, 인지 역량은 ‘보다 큰 미래를 향한 지속적인 학습’이다. 귀국 한 후를 대비하는 개인 효과성 역량에는 ‘가족의 삶의 환경 향상’, ‘개인사업의 경영’에 대한 의지이다. 따라서 이주노동자의 안정적인 정착과 역량 개발, 귀국 후 삶을 보장해주기 위해 정책적 관점에서는 이주노동자에게 요구되어지는 기술습득 기회를 제공하고 사업주는 이주노동자가 안정적인 정착을 할 수 있도록 일과 삶의 환경을 마련하고 이주노동자는 성실성, 인내심, 미래에 대한 꿈을 실현할 수 있도록 끊임없는 노력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