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이용이 청소년의 신체상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기 위해 소셜미디어 이용, 또래 간 외모 대화, 마른 몸매의 내면화, 외모 상향 비교, 신체불만족 간의 인과적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N = 501)를 실시하였고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소셜미디어에서 관계유지 활동을 자주 할수록 그리고 유튜브 뷰티⋅건강 콘텐츠를 자주 이용할수록, 친구들과 부정적인 외모대화를 많이 나누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모 관련 부정적 대화를 자주 나눌수록 마른 몸매를 내면화하고 이상적 외모와 자신의 신체를 비교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외모 상향 비교를 많이 할수록 자신의 신체에 대해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인스타그램 이용은 외모 대화, 신체상 내면화, 외모 상향비교에 영향을 주지 않으나, 신체 불만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와 신체 불만족 간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잠재적 매개변인들을 통합적으로 고려함으로써 소셜미디어가 어떻게 신체상에 영향을 주는지를 설명하는 이론적 모델을 제시했고, 특히 또래와의 외모 대화가 갖는 중요성을 확인했다는 데 의의가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how social media influences body image among adolescents. This study conducted surveys of adolescents in a middle school and a high school(N=501),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s among social media use, fat talk, thin-ideal internalization, appearance upward comparison, and body dis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social grooming activities on social media and use of beauty and health contents on YouTube were positively related to fat talk with friends. Fat talk was positively related to thin-ideal internalization and appearance upward comparison. Appearance upward comparison was positively related to body dissatisfaction. Meanwhile, Instagram use was not related to fat talk, thin-ideal internalization, and appearance upward comparison, but was directly related to body dissatisfaction. This study has implications for identifying relevant variables that explain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media use and body dissatisfaction, and particularly for identifying the importance of fat talk in body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