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요한계시록은 신약성서 가운데 해석하기가 어려운 책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논자는 요한계시록을 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해석학적 입장을 제안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종말론 위주로 요한계시록을 읽는 한국교회에게 새로운 해석의 가능성을 제시함에 있다. 논자는 칼 바르트의 요한계시록 해석에서 이러한 가능성을 모색했다. 이를 위해, 바르트가 자기시대의 사회문제들을 통해서 저술했던 주요 저작들 중에서 ‘교회 교의학’, ‘바르멘 선언’과 같은 자료들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칼 바르트가 자기시대의 ‘반신적(反神的)인 절대권력’을 비판하기 위해서 요한계시록을 정치-사회학적으로 해석하였고, 또한 ‘대조사회’와 ‘대항현실’로서의 교회가 자기시대의 국가와 문화에 저항하기 위해서 성서적 당위성을 요한계시록에서 찾았다는 사실을 밝혔다. 칼 바르트의 요한계시록에 대한 해석학적 입장을 받아들임으로써, 이것이 교회를 개혁하기 위한 신학적인 근거로써 제시되어야 한다.


The Book of Revelation is known as a difficult book to interpret in the New Testament. Therefore, I worked on this study to propose a hermeneutical position that can clearly understand The Book of Revel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possibility of a new interpretation for Korean Church, which read The Book of Revelation mainly on apocalypticism. I sought this possibility in Karl Barth’s interpretation of The Book of Revelation. For this, I analyzed materials such as ‘Church Dogmatics’ and ‘Theological Declaration of Barmen’ among the major works that Karl Barth wrote through social problems of his time. This study revealed the fact that Karl Barth interpreted The Book of Revelation as a political-social perspective in order to criticize ‘Anti-Divine Supreme Power’ in his time, and also revealed the fact that the church as a ‘Counter-Reality’ and a ‘Contrast-Society’ found a biblical imperativeness in The Book of Revelation to resist the state and culture of his time. By accepting Karl Barth’s hermeneutical position of The Book of Revelation, it should be presented as a theological basis for reforming the chu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