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결혼 이주 여성이 자신을 재현하는 글쓰기에 주목하여 한국어 수기의 조건, 대상, 의미를 분석한다. 이주 여성은 글을 쓰면서 언어, 주관 기관, 독자, 자기 재현 욕망이라는 네 가지의 검열 체계를 거친다. 이 때문에 이주 여성의 글에는 자신의 감정을 단순화하고 일관된 논리로 만들어야 한다는 강박이 나타난다. 특히, 모성애의 문제는 한국 사회에 작동하는 정상가족 이데올로기, 동화(同化) 이데올로기와 관련된다. 결혼 이주 여성들은 수치화될 수 없는 재생산노동에 종사하며, 글쓰기로 한국에의 적응과 가정의 돌봄을 입증한다. 그들이 공모전에서 요청받는 다문화가정 구성원으로서의 희망은 한국에서 느끼는 상반된 위상-국가 발전에 기여하는 영웅, 결손 가정의 원인-과 감정을 인위적으로 봉합하는 과정을 수반한다. 우리가 주목할 것은 그들이 말하는 희망이 아니라, 희망이나 발전을 실현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복합적인 감정과 자기 설명의 불가능성이다. 이민자 수가 많아지고 공론장이 활성화되면서 한국(인)의 배타적인 폐쇄성, 계급·인종·젠더의 서열화 문제를 폭로하는 글이 많아졌다. 다른 한편, 결혼 이주 여성이 자녀를 비롯한 한국인에게 모국어와 모국 문화를 가르치는 일화 역시 증가했다. 그 속에서 이주 여성은 동화의 불가능성과 함께 정체성의 혼란을 고백한다. 이는 한국 다문화가족 정책에 내재한 균열이다. 그런데 그 균열은 세계화를 외치며 국민/비국민을 가르고 이민자를 배제하는 한국인에게 ‘완전한’ 한국인, ‘진정한’ 세계화가 무엇인지 묻게 한다. 그리고 독자 역시 그 질문 앞에서 자기를 설명할 수 없다는 무능과 고통을 인정하게 된다. 이처럼 결혼 이주 여성에게 요청된 국가주의적 희망의 서사는 이주 여성과 한국인의 정체성 변화나 확장 가능성을 암시하는 방향으로 굴절된다. 나와 너의 불완전함을 인정하는 계몽의 복수성이야말로 결혼 이주 여성의 한국어 수기에서 발견할 수 있는 희망의 전조이다.


Concentrating on the writing of immigrated females on marriage, this paper analyzes the conditions, the objects and the meanings of the memoirs written in Korean. When the immigrated female writes the memoir, she needs to censor the writing under the condition of the language, the managing department, the reader and the desire expressing herself. Therefore in these memoirs a kind of obsession can be found, which simplifies the writer’s emotion and composes the emotion in a consistent logic. Especially, the subject of maternal affection is related with the ideology of normal family and the ideology of assimilation operated in Korean society. Immigrated females normally work in the area of social reproduction in which the magnitude of work is hard to be calculated and they prove their adaption in Korea and the care for their own family. The hope that is requested in writing contests to them as a member of multi-cultural family, accompanies the process intentionally harmonizing the two conflicting social assessments for them, the one is a hero attributing to national development and the other is a reason of broken family, and their incompatible emotions under this contradictory situation. What we need to concentrate is not the hope that they say but their complex emotions and the impossibility of explaining their being that they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realizing their hope or development. As the number of immigrants are increasing and social discussions are more activated, the articles that disclose the exclusiveness of Korean society and the ranking problem according to social class, race and gender, are released more frequently. In this situation, the immigrated females experience not only the impossibility of assimilation but also identity crisis. This is the problem which is embedded in the policy of multi-cultural family in Korea. By the way, this problem of disharmony demands an answer for the questions, that is, who is ‘genuine’ Korean and what is ‘real’ internationalization, to Korean people who exclude immigrants in the society while claiming globalization. The Korean readers of the memoirs also feel pain and incompetence because they can not explain their existence in front of these questions. Like this, the nationalistic hopeful narration requested to the immigrated females, comes to have meaning to both the writers and Korean readers in the direction of changing and enlarging the identity of both of two groups. Therefore this kind of multiplicity of enlightenment that admits the incompleteness of everyone, is the sign of hope which we can find in the memoirs of the immigrated females.